- 발음
- [위돋

- 활용
- 윗옷만[위돈만

- 품사
- 「명사」
- 「001」위에 입는 옷.
- 그녀는 여행을 떠나기 위해 윗옷 두 벌과 아래옷 세 벌을 준비하였다.
- 아이들은 윗옷을 벗어 던지고 물속에 뛰어들었다.
역사 정보
웃옷(15세기~19세기)>윗옷(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윗옷’의 옛말인 ‘웃옷’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웃옷’은 “위쪽”을 뜻하는 ‘웋’, 사이시옷, “옷”을 뜻하는 ‘옷’이 결합된 것이다. ‘웋’은 ‘ㅎ’ 종성 체언인데 사이시옷으로 인해 ‘ㅎ’이 탈락되어 ‘웃옷’이 되었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웃옷ㅅ’은 ‘옷’의 종성 ‘ㅅ’을 중철한 것이다. 18세기 문헌에 나타난 ‘욷옫ㅅ’은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음절 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의 역작용으로서 원래의 ‘ㅅ’을 ‘ㄷ’으로 표기한 과도 교정으로 나타난 것이다. 15세기 국어에서 “위쪽”을 의미한 ‘웋’은 한글맞춤법에서 ‘위’(혹은 ‘윗’)와 접두사 ‘웃-’으로 나누어진다. 이에 따라 ‘윗옷’은 “위에 입는 옷”을 뜻하고 ‘웃옷’은 “맨 겉에 입는 옷”을 뜻하게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웃옷, 웃옷ㅅ, 욷옫ㅅ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