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디

- 품사
- 「대명사」
- 「001」((의문문에 쓰여)) 잘 모르는 어느 곳을 가리키는 지시 대명사.
- 학교가 어디냐?
- 어디가 이장 댁이오?
- 실례지만 어디서 오셨습니까?
- 내가 그걸 어디 두었더라?
- 칠백 리 긴 강을 녹이며 입김처럼 불어오는 바람은 어디서 오는 것일까.≪문순태, 타오르는 강≫
- 시내를 벗어났는데 인실은 어디 가느냐 묻지 않았다.≪박경리, 토지≫
- 그러나 막상 방향을 바꾸자 어디로, 어느 방향으로 차를 몰아야 할 것인가 판단이 서질 않았다.≪최인호, 지구인≫
- 그러나 올라왔다는 소문만 들었을 뿐 그는 서태호가 어디에 살며 무엇을 하는지는 알 길이 전혀 없었다.≪홍성원, 육이오≫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어듸(15세기~19세기)/어(15세기~19세기)>어디(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디’의 옛말인 ‘어듸’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의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어디’ 형태가 등장하였다. 한편 15세기~19세기에는 ‘어듸’와 함께 ‘어’ 형태도 존재하였다. ‘어’는 기원적으로 ‘어느, 엇디’ 등에서 보이는 의문의 형태소 ‘어-’와 “장소, 곳”의 의미하는 ‘’의 결합으로 추정되며 ‘어듸’는 합성어 내부가 긴밀해 지면서 모음조화에 따라 변화한 것으로 보기도 한다. |
---|---|
이형태/이표기 | 어듸, 어, 어디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6)
- 관용구어디 (두고) 보자
- 앞으로 결과가 좋지 아니할 것이라고 벼르거나 앙갚음을 하겠다고 할 때 하는 말.
- 이놈도 감투를 쓰더니 거만해졌구나. 제가 나를 이렇게 괄시해……어디 두고 보자. ≪유진오, 구름 위의 만상≫
- 허허, 참 기가 막혀서. 하기는 법은 멀고 주먹은 가까우니 미친놈을 상대할 수도 없거니와, 어디 두고 보자, 네놈이 살아남는다면…. ≪박경리, 토지≫
- 관용구어디라 없이
- 꼭 어디라고 일정하게 정함이 없이.
- 문태석의 개념으로 하면 젊은 과부라고 하면 어디라 없이 추레하고 슬픔이 드리워 있는 것이라야 하였다. ≪채만식, 돼지≫
- 관용구어디를 막론하고
- 어디를 가릴 것 없이 어느 곳이나 다.
- 내 님이 있는 곳이라면 어디를 막론하고 가겠다.
- 관용구어디에다 대고
- 누구에게 향하여.
- 아니 이 사람이 어디에다 대고 삿대질이야?
- 속담어디 개가 짖느냐 한다
- 남이 하는 말을 무시하여 들은 체도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동네 개 짖는 소리(만 못하게 여긴다)’ ‘어느 집 개가 짖느냐 한다’
- 속담어디 소경은 본다던
- 소경은 볼 수 없다는 뜻으로, 이치에 어긋나는 말을 하는 경우를 비꼬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