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찓따발음 듣기]
활용
찢어[찌저발음 듣기], 찢으니[찌즈니발음 듣기], 찢는[찐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물체를 잡아당기어 가르다.
종이를 발기발기 찢다.
다친 그를 여자가 세면장에서 씻겨 주고 손수건을 찢어 감싸 주었다.≪황석영, 야근≫
나는 포켓에 든 봉투를 꺼내 그 봉투를 찢고 돈을 지갑에 도로 챙겨 넣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그는 이제 더 이상 점잔을 뺄 수 없을 만큼 허기가 져서 닭 다리를 찢어서 아귀아귀 먹기 시작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8세기~19세기)>다(19세기)>찢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찢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나타났다. 16세기 이래로 종성의 ‘ㅅ’이 ‘ㄷ’과 발음이 같아지면서 근대국어 시기에는 간혹 ‘-’으로 표기된 예도 보인다. 중세국어 시기에 ‘ㅶ’은 어두자음군으로 ‘ㅂ’과 ‘ㅈ’이 모두 발음되었는데,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짐에 따라 ‘ㅶ’에서 ‘ㅂ’이 탈락하고 ‘ㅈ’의 된소리로 바뀌어 18세기에는 ‘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국어 후기에 치찰음 ‘ㅈ, ㅊ, ㅉ’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19세기에는 ‘다’ 형태가 나타났다. 현대 국어에서는 ‘ㅈ’의 된소리를 ‘ㅉ’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찢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 -, -, -, -, 쯪-, 쯧-, -
세기별 용례
15세기 : (-)
金翅鳥ㅣ 나니 그 龍 자바 올오리 저 다 머거리니 ≪1447 월곡 59ㄱ
16세기 : (-)
즐  ≪1527 훈몽 하:6ㄱ
17세기 : (-, -, -)
도적놈은 엇디 리 날 주기디 아니뇨 비록 며 베혀도 셰여 너 졷디 아니호리라 ≪1617 동신속 열4:87ㄴ≫
撕開 다1690 역해 하:47ㄴ
굴티 아니니 도적이 노여 칼로 그  벋기고 그 톄 고 가다 ≪1617 동신속 열4:23ㄴ≫
18세기 : (-, -, -, -)
므릇 혈긔 잇 쟤 뉘 그 고기 며 그 가족을 고뎌 아니리잇가마 ≪1756 천의 2:13ㄱ
후에 다시 사슬 혀 글 외오지 못 이 免帖을 내여 저 리고 곳 功을다가 過에 맛초와 마즈믈 면거니와 ≪1763 노신 1:5ㄱ
撕扯 다1775 역보 54ㄴ
신의 분통 의 바로 손조 그 고기 저 먹고뎌 되 ≪1756 천의 1:70ㄴ
撕開 다1748 동해 하:53ㄴ
19세기 : (-, -, 쯪-, 쯧-, -)
졔사쟝이 그 옷슬 즈며 갈오되 뎌 참남 말 니 엇지 다른 간증 쓰랴 ≪1887 성전 마태 26:65
고로 서로 갈오 지 말고 제비여 뉘힌가 보쟈 니 ≪1887 성전 요한 19:24
므 사이 텬쥬 욕고 업수히 넉이 말을 드면 곳 제 옷 쯔져 그 분 을 나타냄이라 ≪1892 성직 39ㄴ
큰 옷  벌은 혼숄 업시 통으로 짠 거신 즉 서로 닐 이 쯧지 말고 뉘가 가지기로 져비뽑아 뎡자 ≪1892 성직 66ㄴ
다 裂也 ≪1895 국한 25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