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찓따

- 활용
- 찢어[찌저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물체를 잡아당기어 가르다.
- 종이를 발기발기 찢다.
- 다친 그를 여자가 세면장에서 씻겨 주고 손수건을 찢어 감싸 주었다.≪황석영, 야근≫
- 나는 포켓에 든 봉투를 꺼내 그 봉투를 찢고 돈을 지갑에 도로 챙겨 넣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 그는 이제 더 이상 점잔을 뺄 수 없을 만큼 허기가 져서 닭 다리를 찢어서 아귀아귀 먹기 시작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쨎다(경남, 중국 흑룡강성), 쮀다(경상, 중국 흑룡강성), 바리다(제주), 버리다(제주), 찌지다(제주), 치지다(제주), 찌개다(충북), 쯪다(평북, 함경), 메다(함남)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다(18세기~19세기)>다(19세기)>찢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찢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에는 8종성법에 따라 ‘-’으로 나타났다. 16세기 이래로 종성의 ‘ㅅ’이 ‘ㄷ’과 발음이 같아지면서 근대국어 시기에는 간혹 ‘-’으로 표기된 예도 보인다. 중세국어 시기에 ‘ㅶ’은 어두자음군으로 ‘ㅂ’과 ‘ㅈ’이 모두 발음되었는데, 근대국어 시기에 어두자음군이 사라짐에 따라 ‘ㅶ’에서 ‘ㅂ’이 탈락하고 ‘ㅈ’의 된소리로 바뀌어 18세기에는 ‘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근대국어 후기에 치찰음 ‘ㅈ, ㅊ, ㅉ’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ㅣ’로 바뀌는 현상에 따라 19세기에는 ‘다’ 형태가 나타났다. 현대 국어에서는 ‘ㅈ’의 된소리를 ‘ㅉ’으로 표기하는 원칙에 따라 ‘찢다’로 표기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 -, -, -, 쯪-, 쯧-, -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