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짝발음 듣기]
활용
짝만[짱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둘 또는 그 이상이 서로 어울려 한 벌이나 한 쌍을 이루는 것. 또는 그중의 하나.
짝을 이루다.
짝을 짓다.
이 반은 정원이 홀수라서 짝이 맞지 않는다.
짝이 반장으로 뽑혔다.
꽃과 나비가 짝이 되어 노래로 읊어질 수 있음은 상식적으로 기대되는 하나의 소재일 수 있다.≪정병욱, 국문학 산고≫
짝이 맞는 숫자면 길하고 짝이 맞지 않는 숫자면 불길하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15세기~19세기)>(18세기~19세기)>짝(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짝’의 옛말인 ‘’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의 첫소리 ‘ㅶ’은 두 자음이 각각 소리가 나는 자음군이었다. 18세기에 자음군 ‘ㅶ’이 된소리로 바뀌어 ‘ㅾ’으로 나타난 이후 19세기에 ‘ㅈ’의 된소리가 ‘ㅉ’으로 표기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 , 짝
세기별 용례
15세기 : ()
爲雙 ≪1446 훈해 48
16세기 : ()
셔피로 다하 두 어울운 굴에예 솟 조차 잇고 ≪1510년대 번박 28ㄴ
17세기 : ()
비르서실 제 사 야 길헤 딘 초혜  글 어더 오라 야 ≪1608 언태 28ㄱ
18세기 : (, )
羊을 사되 진 거슬 라 ≪1765 박신 1:02ㄱ
一隻  1740 동해 하:21ㄴ
19세기 : (, , 짝)
구경 부모 나졔 지으미 잇고 ≪1876 남궁 4ㄴ
隻 신  1880 한불 523
隻 ≪1895 국한 254

관용구·속담(5)

관용구짝(을) 맞추다
혼인을 시켜 부부가 되게 하다.
  • 옆집 처녀와 짝을 맞추어 주다.
관용구짝이 지다
양쪽을 비교할 때 서로 차이가 나 어울리지 아니하고 한쪽이 못하거나 떨어지다.
  • 그의 부모는 짝이 지지 않는 부부이다.
속담짝 없는 화가 없다
복 받기는 매우 어렵고 재앙은 연거푸 겹쳐 옴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복은 쌍으로 안 오고 화는 홀로 안 온다
속담짝 잃은 기러기
몹시 외로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짝 잃은 원앙
속담짝 잃은 원앙
몹시 외로운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짝 잃은 기러기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