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채우다발음 듣기]
활용
채우어[채우어발음 듣기](채워[채워]), 채우니[채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을 …에】【…을 …으로】
「005」일정한 공간에 사람, 사물, 냄새 따위를 가득하게 하다. ‘차다’의 사동사.
빈자리를 채우다.
이삿짐이 방 안을 가득 채우고 있다.
어느덧 손님들이 모여들어 술집을 꽉 채우게 되어 바로 우리 자리 옆에도 사람이 앉았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짙은 안개가 계곡을 가득 채우고, 산자락을 휘감고 있었다.≪조정래, 태백산맥≫
단맛이 입안을 가득 채우고 꿈길처럼 목을 타고 넘었다.≪이상문, 황색인≫
바람 빠진 타이어에 공기를 채우다.
어머니가 독에 쌀을 가득 채웠다.
상자를 모래로 가득 채우다.
500원짜리 동전으로 돼지 저금통을 가득 채웠더니 가슴이 뿌듯하다.

관련 어휘

옛말
오다

역사 정보

오다(15세기~19세기)>우다(18세기~19세기)>채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채우다’의 옛말인 ‘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다’는 동사 어간 ‘-’에 사동접미사 ‘-이-’와 ‘-오-’가 결합한 것이다. 18세기, 19세기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ㅗ’가 ‘ㅜ’로 바뀐 ‘우다’ 형태가 등장하였는데, 19세기까지는 기존의 ‘오다’가 공존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모음 ‘ㆍ’가 ‘ㅏ’로 변함에 따라 이중모음 ‘ㆎ’[ʌy]도 ‘ㅐ’[ay]와 소리가 같아진 후, 이중모음 ‘ㅐ’가 단모음화를 겪어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채우다’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오다, 우다, 채오다, 채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다)
이 大施主ㅣ 이티 布施야 八十年을 오고1459 월석 17:47ㄱ
한 차바 즉자히 다 먹고   몯 와 조 귓거슬 자바 次第로 다 니 ≪1447 석상 24:22ㄴ
이 偈 願을 와 成道시며 定慧功이 두려샤 讚歎며 ≪1459 월석 14:16ㄱ
16세기 : (오다)
오 치위 리옴만 며 음식을 예 올만 고 ≪1588 소언 6:132ㄴ
17세기 : (오다)
飮食은 주린 거 올 만 이라 엇디 구여 羅列여 알 게 며 ≪17세기 여훈 상:34ㄴ
師傅ㅣ아 너도 밧바 말고 날호여 江南의 가 집마다 보시여 願을 와 일오라 ≪1677 박언 하:4ㄴ
補定 흥졍에 모란 것 오다1690 역해 하:48ㄱ
補錢數 수에 오다1690 역해 하:51ㄴ
18세기 : (오다, 우다)
올 츙 充 ≪1781 왜해 하:32ㄱ
네 잘 먹이고 구요에 와 주지 말라 이 이 버무린 여물을 먹어 물 먹이라 가쟈 ≪1790 몽노 2:18ㄴ
슬프다 뎌 진황은 미인을 아방궁에 우고1763 경문속 30ㄱ
19세기 : (오다, 우다, 채오다, 채우다)
오다 作隻 ≪1880 한불 524
오다 滿 ≪1880 한불 594
확츙 널녀 우단 말이라 ≪1882 척사윤음 8ㄱ
 부루게 먹고 남은 부수럭이 열두광지에 우고1887 성전
채오다 充也 ≪1895 국한 290
채우다 充也 ≪1895 국한 290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