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온ː갇발음 듣기]
품사
「관형사」
「001」이런저런 여러 가지의.
온갖 시련.
온갖 소리.
온갖 정성을 기울이다.
그는 온갖 변명을 늘어놓으면서 어떻게든 그 순간을 모면하려 했다.
형은 이번 일을 성사시키기 위하여 온갖 수단을 다 써 봤으나 결국은 실패하고 말았다.
온갖 종류의 꽃들이 이번 전시회에 전시될 것이다.
그는 사람과 화려한 네온과 넘치는 차들과 소음과 온갖 소리와 말소리, 음악 소리에 질식해서 죽을 것만 같았다.≪최인호, 지구인≫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눈금 없는 강물처럼 온갖 사물은 매듭 없이 흐르고 있다.≪박경리, 토지≫
그러나 시선은 물 위에 멎어 있어도 두 노인의 마음속에는 온갖 감회가 가슴 가득히 솟아올랐다.≪홍성원, 육이오≫
양반이란 너울을 쓰고 이 세상의 온갖 못된 짓들만 하는 치들이 그들 아닌가.≪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온가짓(15세기~18세기)>온갓(15세기~19세기)>온갖(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온갖’의 옛말인 ‘온가짓’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온가짓’은 “100”을 뜻하는 ‘온’과 “종류”를 뜻하는 ‘가지’, 관형격 조사 ‘ㅅ’이 결합된 것이다. ‘온가짓’이 축약된 ‘온갓’은 15세기부터 19세기 문헌까지 나타난다.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는 ‘온갇’은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음절 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의 역작용으로서 원래의 ‘ㅅ’을 ‘ㄷ’으로 표기한 과도 교정으로 나타난 어형이다. ‘온갓’이 원래 ‘온가짓’이었다는 것을 고려하여 ‘온갓’이 아닌 ‘온갖’이 현재에 이른다.
이형태/이표기 온가짓, 온가지, 온갓, 온갇, 온갖, 온각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온가짓, 온갓))
온가짓 正티 몯 法이 다 야디며 ≪1459 월석 2:38ㄴ
鷓鴣 우 고대 온갓 고지 옷곳호 ≪1482 남명 上:8ㄱ
16세기 : ((온가짓, 온가지, 온갓))
쇼와  온가짓 병을 고툐 ≪1541 우마 4ㄴ
온가지 고온  고 ≪16세기 장수 50ㄱ
온갓 실이 다 그러니 ≪1588 소언 5:108ㄱ
17세기 : ((온가짓, 온갓, 온갇, 온각))
徐公 온가짓 이 ≪1632 두시-중 8:24ㄴ
모 온갓 피 인 고기흘 머구미 ≪1608 언두 하:40ㄴ
병이 극여 온갇 약기 효험 업거 ≪1617 동신속 효8:48ㄴ≫
온각 것 공연이 ≪1796 경신 74ㄱ
18세기 : ((온가짓, 온가지, 온갓, 온갇, 온갖))
온가짓 일 나미 겨집으로브터 홈이 만니 ≪1737 어내 2:13ㄱ
님금은 온가지 소임의 모든 배니 ≪1737 어내 2:84ㄱ
온갓 과실 소를 다 쟝만엿냐 ≪1765 청노 7:4ㄴ
一切 온갓1778 방유 해부:30ㄴ
온갇 일이 고 ≪1790 인어 5:13ㄴ
凡百 온갖1748 동해 하:49ㄱ≫ 6
19세기 : ((온갓))
온갓 거 다 젼 속의 너흐니 ≪1852 태상 3:7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