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오로타다

- 활용
- 오롯하여[오로타여](오롯해[오로태]), 오롯하니[오로타니]
- 품사
- 「형용사」
- 「001」모자람이 없이 온전하다.
- 부모님의 오롯한 사랑.
- 반환 지점에 도달했을 때에야 시야가 점차 분명해지면서 흐릿한 새벽길이 오롯하게 떠오르고 있었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오스르-하다(충청)
- 옛말
- 오록-다
역사 정보
오롯다(18세기)>오롯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오롯하다’의 옛말인 ‘오롯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오롯다’는 자음으로 시작되는 어미인 ‘-디’나 ‘-게’ 등에서 ‘-’가 탈락하여 표면상으로는 어간이 ‘오롯-’인 것처럼 나타나기도 한다. ‘오롣다’, ‘올옫다’와 같이 제2음절의 받침이 ‘ㄷ’인 것은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에서 ‘ㅅ’과 ‘ㄷ’의 대립이 사라지면서 음절 말의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의 역작용으로서 원래의 ‘ㅅ’을 ‘ㄷ’으로 과도 교정한 표기이다. ‘ㆍ’의 음가 소실에 따른 표기의 혼란으로 인해 19세기에는 제2음절의 ‘ㅗ’를 ‘ㆍ’로 표기한 ‘오다’가 나타나기도 한다. 18세기에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는데, ‘오롯다’도 이 변화를 겪어 ‘오롯하다’가 되어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오롯다, 오롣다, 올옫다, 오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