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지붕

- 품사
- 「명사」
- 「001」집의 맨 꼭대기 부분을 덮어 씌우는 덮개.
- 지붕에 올라가다.
- 지붕이 내려앉다.
- 지붕이 낮다.
- 지붕을 이다.
- 비가 오면 지붕이 샌다.
- 기와로 지붕을 덮었다.
- 고추를 지붕 위에 널어 말렸다.
- 지붕 위에 쌓였던 눈이 녹아 처마 끝에 고드름이 달렸다.
- 기실 배달수 영감은 청수암에서 법운 스님과 십 년이 넘도록 한 지붕 밑에 살면서도, 여태껏 그의 집안 사정을 한 번도 입 밖에 내놓은 일이 없었다.≪문순태, 피아골≫
- 이런 별종의 인간과 한 지붕 아래서 내가 살아가고 있다니! 한심스러웠다.≪김원우, 짐승의 시간≫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집웋(15세기~19세기)>집웅(19세기)>지붕(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지붕’의 옛말인 ‘집웋’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집웋’은 ‘집’에 “위”를 뜻하는 ‘웋’이 결합된 것이다. ‘집웋’이 ‘집웅’으로 바뀐 것은 두 가지 가능성을 통해 생각해 볼 수 있다. 하나는 ‘집’에 접미사 ‘-웅’이 결합된 ‘집웅’이 ‘집웋’를 대체한 것으로 보는 것이다. 다른 하나는 ‘집웋’의 제2음절 종성 ‘ㅎ’이 ‘ㅇ’으로 바뀌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렇게 볼 경우 ‘ㅎ’ 종성 체언의 ‘ㅎ’은 탈락되거나 축약되거나 재음소화 되거나 하는 과정을 겪는 것이 일반적이고 ‘ㅇ’으로 변하는 경우가 ‘’(>땅) 등 드물다는 점을 고려해야 한다. 19세기 문헌에 나타난 ‘집웅’을 소리 나는 대로 표기한 ‘지붕’은 20세기 이후 문헌에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집웋, 집우, 집웅, 집옹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3)
관용구·속담(2)
- 속담지붕 꼭대기로 소 끌어 올리는 격
- 되지도 아니할 일을 무리하게 억지로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지붕의 호박도 못 따면서 하늘의 천도(天桃) 따겠단다
- 쉬운 일도 못하는 주제에 당치 아니한 어려운 일을 하려고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