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조롱박

- 활용
- 조롱박만[조롱방만

- 품사
- 「명사」
- 「001」호리병박으로 만든 바가지.
- 조롱박으로 물을 떠서 마시다.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종굴-박
- 지역어(방언)
- 소쪽-바가지(강원), 쪼롱-박(강원, 경상, 전남, 충북), 쪽베기(강원, 경북), 쫄랑-박(강원, 충북), 초롱-박(강원, 충북), 소쪽-박(경기), 쫑구리(경기), 꼬두-박(경남), 일천-박(경남), 절구래이(경남), 조고랭이(경남), 조랑-바가지(경남), 종구랭이(경남), 쪼구래이-박(경남), 쪼구레이(경남), 쪼구렝이(경남), 쪼그렝이(경남), 쪼랭이(경남), 쪼레-박(경남), 쫑고래이(경남), 쫑고랭이(경남), 고두-박(경북), 꼬도-박(경북), 도롱-박(경북), 돌-박(경북), 똥구리(경북), 조그랭이박(경북), 좃배이-박(경북), 주렁-박(경북, 전남), 쪼릉박-이(경북), 골지름(경상), 조랑-박(전남), 쫑구레미(전남), 조구래기(전북), 조롱(전북), 쪼곱-박(전북), 코-박새기(제주), 코큭(제주), 조래이-박(충남), 졸근-박(충북), 촉-박(충북)
역사 정보
죠박(15세기)>죠롱박(17세기)>조롱박(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조롱박’의 옛말인 ‘죠박’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죠박’의 제2음절 받침 ‘ㆁ’은 15세기 문헌에서 [ŋ]을 나타내던 것이었는데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7세기 문헌에서부터 ‘죠롱박’으로 나타난다. ‘죠롱박’의 제1음절 ‘죠’는 치음이었던 ‘ㅈ’이 근대 국어 시기에 구개음으로 바뀌어 ‘죠’와 ‘조’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조롱박’으로 되어 20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죠박, 죠, 죠롱박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