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다다르다

- 활용
- 다다라[다다라


- 품사/문형
- 「동사」 【…에】
- 「001」목적한 곳에 이르다.
- 학교에 다다르다.
- 기나긴 항해 끝에 우리는 드디어 보물섬에 다다랐다.
- 소리를 좇아 운암댁이 현장에 다다랐을 때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미 싸움은 끝나 있었다.≪윤흥길, 완장≫
- 주옥이 드디어 초가집에 다다라 판자로 만든 찌그러진 대문을 요란스레 흔들어 댄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 미시가 훨씬 넘은 뒤에야 왕의 어가는 정릉 홍살문 앞에 다다랐다.≪박종화, 다정불심≫
- 두 사람은 전찻길 끝에서 한참이나 걸어 나가 처음 만났던 장소에 다다랐다.≪심훈, 영원의 미소≫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다(15세기~18세기)>다닷다(19세기)>다다르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다다르다’의 옛말인 ‘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다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다-’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다-’로 나타나던 ㄷ 불규칙 용언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다닷다’로 나타난다. ‘다닷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다다’에서 변화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나타나는 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다다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은 ‘다-’의 제1음절 모음 ‘ㅏ’가 ‘ㆍ’로 나타난 것이며, ‘다듣다’는 ‘다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17세기의 ‘다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다-, -, 다듣다, 다다, 다닷-/다달-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