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다다르다발음 듣기]
활용
다다라[다다라발음 듣기], 다다르니[다다르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에】
「001」목적한 곳에 이르다.
학교에 다다르다.
기나긴 항해 끝에 우리는 드디어 보물섬에 다다랐다.
소리를 좇아 운암댁이 현장에 다다랐을 때는 다행인지 불행인지 이미 싸움은 끝나 있었다.≪윤흥길, 완장≫
주옥이 드디어 초가집에 다다라 판자로 만든 찌그러진 대문을 요란스레 흔들어 댄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미시가 훨씬 넘은 뒤에야 왕의 어가는 정릉 홍살문 앞에 다다랐다.≪박종화, 다정불심≫
두 사람은 전찻길 끝에서 한참이나 걸어 나가 처음 만났던 장소에 다다랐다.≪심훈, 영원의 미소≫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다다(15세기~18세기)>다닷다(19세기)>다다르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다다르다’의 옛말인 ‘다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확인된다. ‘다다’는 자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다-’으로,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다-’로 나타나던 ㄷ 불규칙 용언이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다른 모음으로 변화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다닷다’로 나타난다. ‘다닷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다다’에서 변화한 것이다. 20세기 이후 모음으로 시작하는 어미와 결합할 때 나타나는 형태로 고정됨에 따라 ‘다다르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6세기의 ‘-’은 ‘다-’의 제1음절 모음 ‘ㅏ’가 ‘ㆍ’로 나타난 것이며, ‘다듣다’는 ‘다다’의 제2음절 모음 ‘ㆍ’가 ‘ㅡ’로 변화한 것이다. 17세기의 ‘다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종성 ‘ㄷ’을 ‘ㅅ’으로 표기하던 경향에 따라 나타난 것이다.
이형태/이표기 다-/다-, -, 다듣다, 다다, 다닷-/다달-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다-, 다-)
太子ㅣ 出家 時節이 다고1447 석상 3:24ㄴ-25ㄱ
부텨 니르시논 解脫 우리도 得야 涅槃애 다론가 다소니 ≪1447 석상 13:43ㄴ
蔡暗히 天竺國 이웃나라 月支國에 다라1459 월석 2:66ㄱ
16세기 : (다-, 다-, 다듣다, -)
마 그러면 앏푸로 촌애 다디 몯고 뒤후로 뎜에 다디 몯리니 ≪1510년대 번노 상:10ㄱ-10ㄴ
뎜도 마 다리로다1510년대 번노 상:60ㄴ
나죄 다듣거든 스님 앏픠셔 사 혀 글 외오기 야 ≪1510년대 번노 상:3ㄴ
잠 더워며 이 업 디오기 아도   업서 ≪16세기 장수 10ㄱ
17세기 : (다-, 다-, 다다)
아기 음문에 다로 기들워 ≪1608 언태 20ㄴ
도적기 다거늘 므레 드러 주그니라 ≪1617 동신속 열3:72ㄴ≫
밋 도적이 달래예 다니 우리 나라 군이 라나 궤산거 ≪1617 동신속 충1:42ㄴ≫
적봉이 쟝 다게 되니 오욕가 저허 ≪1617 동신속 열4:40ㄴ≫
스므 닷쇗 날 다르면 起程리니 뎌 漢ㅅ 벗의게 하딕쟈 ≪1670 노언 하:65ㄱ
18세기 : (다-, 다-, 다다)
우리 이 두 사의 갈 길히 어 다라 호료 ≪1721 오륜전비 4:33ㄴ
만일 밤의 다면 뎨 뎌의 老婆와 집 門을 닷고 자리니 ≪1721 오륜전비 1:44ㄴ-45ㄱ
二十里 長亭애 다르면 이 셔울로 드 길히 호이리이다 ≪1721 오륜전비 4:33ㄴ
五更에 다거든  콩을다가 다 져 주어 머기라 ≪1763 노신 1:30ㄴ
夏店도 마 다을이로다1795 노언-중 상:55ㄴ
19세기 : (다다, 다닷-, 다달-, -)
한양을 짓밟고 곳 평양으로 다다르니1880 과화 18ㄴ
유시에 임의 여 날이 다고 아기 할손을 밧게 되매 ≪1892 성직 1:93ㄱ
샹 관뎡의 호소미 이시면 은닉야 죄 안에 다닷지 아니게 고 ≪1883 이언 3:22ㄱ
녁노의 그 집의 르니 날이 이믜 져문지라 ≪1852 태상 2:61ㄱ-61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