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애처롭따

- 활용
- 애처로워[애처로워], 애처로우니[애처로우니]
- 품사
- 「형용사」
- 「001」가엾고 불쌍하여 마음이 슬프다.
- 애처롭게 울다.
- 애처롭게 보이다.
- 애처롭게 여기다.
- 거지는 애간장을 녹이는 애처로운 소리로 애걸하며 행인에게 매달렸다.
- 젓가락같이 여윈 손이 잔디를 뜯으며 몸부림치는 모습이 너무나 애처로워 눈시울이 뜨거워 오는 것이었다.≪한무숙, 만남≫
- 긴 손가락이 힘없이 무릎 위에 놓여 있는 것을 볼 때 선용의 가슴은 웬일인지 불쌍하고 애처로울 뿐이었다.≪나도향, 환희≫
- 까만 눈에는 수심이 서려 한층 애처로워 보였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아쳗다(15세기)>아쳐롭다(16세기~19세기)>애처롭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애처롭다’의 옛말인 ‘아쳗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또한 15세기에 ‘아쳗브다’와 ‘아쳐러다’도 나타나는데 ‘아쳗브다’는 ‘아쳗-’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브-’가 결합된 것이고 ‘아쳐러다’는 ‘아쳗-’에 ‘-어-’가 결합된 것이다. 16세기부터 보이는 ‘아쳐롭다’는 ‘아쳐-’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롭-’이 결합된 것이다. 19세기의 ‘아쳐롭다’는 제2음절의 y의 영향을 받아 제1음절의 ‘ㅏ’가 ‘ㅐ’로 변하는 ‘ㅣ’ 모음 역행 동화를 겪고, 치음이었던 ‘ㅊ’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쳐’와 ‘처’가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제3음절의 ‘쳐’가 ‘처’로 나타나게 되어 20세기 이후 ‘애처롭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아쳗다, 아쳐러다, 아쳗브다, 아쳐다, 아쳗다, 아쳡다, 아쳐롭다, 아쳣다, 아쳐라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