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아람치

- 품사
- 「명사」
- 「001」개인이 사사로이 차지하는 몫.
- 검둥이는 수영이가 삼 년 전 겨울 방학에 잠깐 왔을 때 이웃 동네에서 소매 속에 넣고 와 복영의 아람치로 기른 강아지의 이름이다.≪심훈, 영원의 미소≫
역사 정보
아(15세기~17세기)/아것(15세기~17세기)>아름(17세기)>아람치(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아람치’의 옛말인 ‘아’과 ‘아 것’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은 “사사로움”을 뜻하기도 하고 문맥에 따라 “사사로운 것”을 뜻하기도 하였다. 이 명사 ‘아’과 관형격 조사 ‘ㅅ’, 의존 명사 ‘것’이 구를 이룬 ‘아것’이 점차 한 단어로 굳어져 갔을 것으로 생각된다. 역시 “사사로운 것”을 의미하였다. ‘아것’은 17세기에도 나타나나 ≪두시언해≫ 중간본(7:36ㄴ)에 나타난 것이며 이는 15세기 ≪두시언해≫ 초간본에 나타나는 것과 동일한 부분이므로 온전한 17세기 어형으로 보기 어려울 수도 있다. 명사 ‘아’은 16세기 후반 이후에 ‘ㆍ’가 제2음절 이하에서 ‘ㅡ’로 변하면서 17세기에 ‘아름’으로 나타났다. 문헌에서 찾아볼 수 있는 용례의 뜻은 15세기 ‘아’의 첫 번째 뜻, 즉 “사사로움”과 관련되지만 15세기 ‘아’과 마찬가지로 17세기의 ‘아름’이 다의어였다면 “사사로운 것”을 뜻하는 문맥에서도 사용할 수 있었을 것이다. 많은 경우 제2음절 이하의 ‘ㆍ’는 ‘ㅡ’로 변하였지만 일부 어형의 경우에 ‘ㆍ’가 ‘ㅏ’로 변하기도 하였다. 단독형으로 문헌에서 찾아볼 수는 없지만 이 ‘아람’이 현대 국어 ‘아람치’의 선행 요소로 자리 잡게 되었다. ‘아람’의 후행 요소는 관형격 조사 ‘ㅅ’과 의존 명사 ‘것’ 대신 ‘값’의 뜻을 더하는 접미사인 ‘치’가 그 자리를 대체하게 됨으로써 현대 국어의 ‘아치’에 이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아, 아것, 아름, 아람치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