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싸매다

- 활용
- 싸매어[싸매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에】【…을 …으로】
- 「001」무엇을 싸서 풀어지지 아니하게 꼭 매다.
- 붕대를 머리에 싸매다.
- 나무에 짚을 싸매다.
- 머리를 붕대로 싸매다.
- 수도꼭지가 얼지 않게 헝겊으로 꼭 싸맸다.
- 뜰 가운덴 짚으로 싸맨 나무들이 군데군데 서 있어 황량한 겨울의 뜰다운 정경을 펼치고 있었다.≪이병주, 지리산≫
역사 정보
다(15세기~17세기)>싸다(19세기)>싸매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싸매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는 “둘러싸다”라는 뜻의 ‘-[包]’에 부사형 어미 ‘-아’가 결합된 ‘-’와 “매다”라는 뜻의 ‘-[結]’가 결합된 어형이다. ‘ㅄ’은 근대 국어 시기에 ‘ㅆ’으로 발음되었는데 ‘ㅄ’, ‘ㅆ’이 자의적으로 선택되어 표기되었고 점차 ‘ㅆ’으로 통일되는데 19세기에 ‘싸ᄆᆡ다’가 이러한 변화 양상을 보여 준다. 중세 국어에서 이중모음이었던 ‘ㆎ’[ʌy]가 ‘ㆍ’의 음가 소실로 근대 국어 시기에 ‘ㅐ’[ɛ]로 단모음화되는 과정을 겪으면서 현재의 ‘싸매다’가 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싸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