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장사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이익을 얻으려고 물건을 사서 팖. 또는 그런 일.
장사 밑천.
장사가 잘되다.
장사를 시작하다.
자고로 신용 있는 개성상인치고 돈 없어 장사 못하는 사람 봤냐는 거였다.≪박완서, 미망≫
그것은 지난 몇 해 동안 봄가을로 한 해에 두 차례씩 해 먹은 형제 상회의 상투적인 장사 수법이었다.≪이문구, 으악새 우는 사연≫
윤두명이 틈틈이 아르바이트를 했고 할머니도 묵, 두부, 콩나물 장사 같은 것을 해서 서울에서의 생활은 그다지 궁색하지는 않았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장새(경북), 장시(전북), 당시(함북)
옛말
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댱(16세기~17세기)>쟝(18세기~19세기)>장사(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장사’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의 제1음절 받침 ‘ㆁ’은 15세기 문헌에서 [ŋ]을 나타내던 것이었는데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댱’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댱’가 ‘쟝’로 바뀌어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쟝’의 제1음절 ‘쟝’은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쟝’과 ‘장’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장’으로 변한다. 일반적으로 ‘ㆍ’는 제1음절에서 ‘ㅏ’로 변하고 제2음절 이하에서는 ‘ㅡ’로 변하였는데 ‘쟝’의 경우 제2음절인데도 ‘ㅏ’로 바뀐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쟝’가 ‘장사’가 되어 19세기 문헌에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이형태/이표기 , 댱, 쟝, 장, 장사
세기별 용례
15세기 : (())
아 羅卜이 一千貫로  나가더니 ≪1459 월석 23:64ㄱ
16세기 : ((, 댱))
  위업야 ≪16세기 장수 71ㄱ
댱 고 一音 가 ≪1576 신합 하:17ㄴ
17세기 : ((댱))
댱질 사도 각각 그 일을 브즈런이 야 ≪1658 경민-개 11ㄴ
18세기 : ((쟝))
小本經紀 밋쳔 젹은 쟝1775 역보 60ㄴ
19세기 : ((쟝, 장, 장사))
동양란 이 두부 쟝로 위업더니 ≪1881 조군 22ㄱ
장 商賈 ≪1880 한불 527
장사 상(商) ≪1884 정몽 30ㄴ

관용구·속담(4)

관용구장사를 놓치다
장사하여 한몫 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다.
속담장사 끝에 살인난다
장사를 하며 서로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 하다 보니 사람을 죽이는 일까지도 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돈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사회상을 풍자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장사에 첫 마수걸이
장사하는 사람은 장사의 시작이 좋아야 이후의 장사가 계속 잘된다고 생각한다는 뜻으로, 시작을 무척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속담장사 웃덮기(다)
팔 물건을 진열할 때 좋고 성한 것을 골라 겉에다 놓는다는 뜻으로, 겉모양만 허울 좋게 꾸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