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장사

- 품사
- 「명사」
- 「001」이익을 얻으려고 물건을 사서 팖. 또는 그런 일.
- 장사 밑천.
- 장사가 잘되다.
- 장사를 시작하다.
- 자고로 신용 있는 개성상인치고 돈 없어 장사 못하는 사람 봤냐는 거였다.≪박완서, 미망≫
- 그것은 지난 몇 해 동안 봄가을로 한 해에 두 차례씩 해 먹은 형제 상회의 상투적인 장사 수법이었다.≪이문구, 으악새 우는 사연≫
- 윤두명이 틈틈이 아르바이트를 했고 할머니도 묵, 두부, 콩나물 장사 같은 것을 해서 서울에서의 생활은 그다지 궁색하지는 않았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역사 정보
(15세기~16세기)>댱(16세기~17세기)>쟝(18세기~19세기)>장사(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장사’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의 제1음절 받침 ‘ㆁ’은 15세기 문헌에서 [ŋ]을 나타내던 것이었는데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댱’가 나타난다.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 반모음 앞에서 ‘ㅈ, ㅊ’으로 변하는 구개음화로 ‘댱’가 ‘쟝’로 바뀌어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쟝’의 제1음절 ‘쟝’은 치음이었던 ‘ㅈ’이 구개음으로 바뀌어 ‘쟝’과 ‘장’의 발음이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장’으로 변한다. 일반적으로 ‘ㆍ’는 제1음절에서 ‘ㅏ’로 변하고 제2음절 이하에서는 ‘ㅡ’로 변하였는데 ‘쟝’의 경우 제2음절인데도 ‘ㅏ’로 바뀐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쟝’가 ‘장사’가 되어 19세기 문헌에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 댱, 쟝, 장, 장사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관용구장사를 놓치다
- 장사하여 한몫 잡을 수 있는 좋은 기회를 놓치다.
- 속담장사 끝에 살인난다
- 장사를 하며 서로 더 많은 이익을 얻으려 하다 보니 사람을 죽이는 일까지도 하게 되었다는 뜻으로, 돈이 모든 것을 결정하는 사회상을 풍자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장사에 첫 마수걸이
- 장사하는 사람은 장사의 시작이 좋아야 이후의 장사가 계속 잘된다고 생각한다는 뜻으로, 시작을 무척 중요하게 여김을 이르는 말.
- 속담장사 웃덮기(다)
- 팔 물건을 진열할 때 좋고 성한 것을 골라 겉에다 놓는다는 뜻으로, 겉모양만 허울 좋게 꾸미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