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숟뙤다


- 활용
- 숫되어[숟뙤어/숟뛔여](숫돼[숟뙈]), 숫되니[숟뙤니/숟뛔니]
- 품사
- 「형용사」
- 「001」순진하고 어수룩하다.
- 그 사람도 숫되고 세상 물정 모르는 여느 아낙들과 다를 바가 없다.
관련 어휘
- 옛말
- 숟-도외다
역사 정보
숟도외다(16세기)>숫되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숫되다’의 옛말인 ‘숟도외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숟도외-’는 ‘숟+도외-+-다’로 분석된다. ‘숟’은 “더럽혀지지 않아 깨끗한”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도외다’는 ‘되다’의 옛말이다. 근대 국어 시기에 음절 말 ‘ㄷ’을 ‘ㅅ’으로 표기하는 경향이 있었다. 이는 음절 말 위치에서 ‘ㄷ’과 ‘ㅅ’의 소리가 구별되지 않게 되면서 나타난 현상이다. 19세기에 나타난 ‘숫되다’의 ‘숫’은 이러한 표기 경향 때문에 나타난 어형으로 보인다. 한편 ‘숫되다’의 ‘되다’는 ‘도외다’의 제1음절과 제2음절이 축약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숟도외다, 숫되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