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시름

- 품사
- 「명사」
- 「001」마음에 걸려 풀리지 않고 항상 남아 있는 근심과 걱정.
- 시름에 잠기다.
- 시름을 덜다.
- 그녀는 시름에 젖은 눈으로 먼 산을 바라본다.
- 흥에 겨워 노래를 불렀더니 온갖 시름이 다 풀린다.
- 할머니는 노랫가락을 들으며 시름을 달래었다.
- 김윤식은 날마다 어린 손자와 놀면서 시름을 잊었다.≪현기영, 변방에 우짖는 새≫
- 어머니는 이제 큰 시름을 놓게 되셨다고 크게 기뻐하셨다.≪정비석, 비석과 금강산의 대화≫
- 시름에 잠겨 있던 그네는 자신도 모르게 새를 쫓아 눈길이 따라갔다.≪김원일, 불의 제전≫
- 칼만 들고 나서면 모든 시름과 울화가 가뭇없이 스러지고 몸은 훨훨 나는 듯이 가뜬하다.≪현진건, 무영탑≫
- 논을 빼앗긴 새끼내 사람들은 우선 모판을 만들고 논에 물을 방방하게 채운 다음 장써레 곱써레질을 하여 시름도 잊고 모를 내었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시렴(충남)
역사 정보
시름(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시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시름’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19세기 문헌에는 ‘시름’이 보이지 않지만 이 시기에 ‘시름’이 없었다기보다는 자료의 제약으로 인해 발견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한편 15세기~18세기까지 ‘시름’은 명사로 쓰인 예는 드물고 ‘시름다’, ‘시름외다’ 등 형용사의 어근으로 쓰인 예가 훨씬 많다. |
---|---|
이형태/이표기 | 시름, 시르ퟠ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