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슬기롭따발음 듣기]
활용
슬기로워[슬기로워발음 듣기], 슬기로우니[슬기로우니발음 듣기]
품사
「형용사」
「001」슬기가 있다.
고난에 슬기롭게 대처하다.
슬기로운 대답으로 위기를 모면하다.
아이가 워낙 슬기로워서 하나를 가르치면 열을 알았다.
한 가지 일에 집착하다가 인생을 망치는 예란 많다. 인생은 슬기롭게 살아야 한다.≪이병주, 지리산≫
김천일을 위시해서 모든 장수들은 양씨 부인의 슬기로운 계책을 듣자 일제히 손뼉을 쳐서 찬동한다.≪박종화, 임진왜란≫
대저 나라의 힘을 기르는 방도는 여럿 있으나, 그 백성을 슬기롭고 충성되게 가르치는 것이 그 중의 으뜸입니다.≪이문열, 황제를 위하여≫
지금 눈앞에는 그 옛날 하인이었던 사내의 자식이 어느 귀공자 못지않게 슬기를 가득 채운 눈망울을 빛내며 앉아 있는 것이다.≪박경리, 토지≫

역사 정보

갑다(15세기~18세기)>슬겁다(16세기)/슬긔롭다(19세기)/슬긔럽다(19세기)>슬기롭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슬기롭다’와 뜻이 같은 옛말 ‘갑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갑다’의 음성 모음 짝인 ‘슬겁다’는 16세기 문헌에 나타난다. 19세기에는 ‘슬긔롭다’가 나타나기 시작한다. ‘슬긔롭다’는 명사 ‘슬기’에 접사 ‘-롭-’이 결합된 형용사이다. ‘슬긔’는 18세기부터 명사로 나타났다. ‘슬긔롭-’은 ‘슬긔럽-’으로 표기되기도 한다. 명사가 파생 명사의 어근이 될 때 ‘-롭-’이 결합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미루어 ‘슬긔럽-’은 ‘슬긔롭-’에서 변동된 것일 가능성이 크다. ‘밋그럽-, 부드럽-’ 등과 같은 형용사 어간의 마지막 음절들에 유추되었을 가능성이 있으나 정확한 변화 원인은 확정하기 어렵다. ‘긔’가 ‘기’로 표기된 ‘슬기롭다’는 20세기 이후에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갑-, 슬겁-, 슬거오-, 슬긔롭-, 슬긔러오-
세기별 용례
15세기 : ((갑-))
미친 사 다시 일훔지호 어리다 갑다 리고 ≪1461 능엄 4:37ㄱ
17세기 : ((갑-))
갑다 伶俐 ≪1669 어록-개 7ㄱ
18세기 : ((갑-))
穎悟 갑다1790 몽해 상:16ㄴ
19세기 : ((슬거오-, 슬긔롭-, 슬긔러오-))
우리 셩가 밧들어 공경을 알 거시니 우리 어림을 우랴 우리 슬거옴을 찬양랴 ≪1892 성직 9:9ㄴ
슬긔롭다 智 ≪1865 주년 102ㄴ
용으로써  지니 슬긔러온 즉 의심이 업고 ≪1865 주년 102ㄴ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