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솔빵울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소나무 열매의 송이. 공처럼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여러 개의 잔비늘 같은 조각이 겹겹이 달려 있고 그 사이에 씨가 들어 있다.
어린것들을 데리고 고작 솔방울이나 따러 다닌 그에게 해방은 정말 뜻밖으로 주어진 것이었다.≪선우휘, 사도행전≫

역사 정보

솘올(15세기)>솔방올(17~18세기)>솔방울(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솔방울’의 옛말인 ‘솘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솘바’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과 관형격 조사 ‘ㅅ’, “방울”을 뜻하는 ‘올’이 결합된 것이다. ‘바’은 ‘올’의 제1음절 받침 ‘ㆁ’을 제2음절의 초성으로 올려 표기한 것이다. ‘솘올’은 관형격 조사가 탈락되고 제2음절 종성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7세기에 ‘솔방올’로 나타난다. ‘솔방올’의 제3음절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하여 20세기 이후 ‘솔방울’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근대 국어 시기에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하는 것은 ‘벼록>벼룩’, ‘자도>자두’, ‘단쵸>단추’, ‘기동>기둥’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이형태/이표기 솘바, 솘올, 솔방올, 솔방울
세기별 용례
15세기 : ((솘바, 솘올))
솘바 닐굽과 이 나모와 ≪1447 용가 89
닙 소뱃 솘오리 의 알 드렛도다 ≪1481 두시-초 16:34ㄱ
17세기 : ((솔방올))
松塔子 솔방올1690 역해 하:41ㄴ
닙 소갯 솔방오리 즁의 알 드렛도다 ≪1632 두시-중 16:34ㄱ
18세기 : ((솔방올))
松塔子 솔방올1778 방유 해부:22ㄱ
19세기 : ((솔방울))
솔방울 松子 ≪1880 한불 429
솔방울 松子 ≪1895 국한 185

다중 매체 정보(1)

  • 솔방울

    솔방울

관용구·속담(1)

속담솔방울이 울거든
소나무에 달린 솔방울이 절대로 울 리 없는 것처럼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