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솔빵울

- 품사
- 「명사」
- 「001」소나무 열매의 송이. 공처럼 둥그스름한 모양으로 여러 개의 잔비늘 같은 조각이 겹겹이 달려 있고 그 사이에 씨가 들어 있다.
- 어린것들을 데리고 고작 솔방울이나 따러 다닌 그에게 해방은 정말 뜻밖으로 주어진 것이었다.≪선우휘, 사도행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소-빵구리(강원), 소-빵굴(강원), 솓-방굴(강원), 솔-딱지이(강원), 솔-방구리(강원, 경북), 솔-방굴(강원, 전남), 송-방구리(강원, 경북), 소롱지(경기), 소-바알(경남), 소-방울(경남), 솔-바알(경남), 솔-밤세이(경남), 솔-밤싱이(경남), 솔-방구(경남, 전남), 솔-방알(경남), 솔-빵알(경남), 솔-밤제이(전남), 솔-밤지이(전남), 쏠-방울(전남), 소낭-또레기(제주), 소낭-망생이(제주), 솔-도로기(제주), 솔-또롱(제주), 솔-똥(제주), 솔-뱅이(제주), 솔-벵이(제주), 솔-송이(평안), 솔-바울(함경), 솔-셍이(함경), 솔-쇵이(함경), 솔-고두에(함북), 솔-딸개리(함북), 솔-쇠(함북), 솔-바우리(중국 길림성), 송-치(松치)(중앙아시아)
- 옛말
- 솘-바
역사 정보
솘올(15세기)>솔방올(17~18세기)>솔방울(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솔방울’의 옛말인 ‘솘바’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솘바’은 “소나무”를 뜻하는 ‘솔’과 관형격 조사 ‘ㅅ’, “방울”을 뜻하는 ‘올’이 결합된 것이다. ‘바’은 ‘올’의 제1음절 받침 ‘ㆁ’을 제2음절의 초성으로 올려 표기한 것이다. ‘솘올’은 관형격 조사가 탈락되고 제2음절 종성 ‘ㆁ’을 ‘ㅇ’이 대신함에 따라 17세기에 ‘솔방올’로 나타난다. ‘솔방올’의 제3음절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하여 20세기 이후 ‘솔방울’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근대 국어 시기에 모음 ‘ㅗ’가 ‘ㅜ’로 변화하는 것은 ‘벼록>벼룩’, ‘자도>자두’, ‘단쵸>단추’, ‘기동>기둥’ 등에서도 확인할 수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솘바, 솘올, 솔방올, 솔방울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속담솔방울이 울거든
- 소나무에 달린 솔방울이 절대로 울 리 없는 것처럼 도저히 이루어질 수 없는 일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