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소매

- 품사
- 「명사」
- 「001」윗옷의 좌우에 있는 두 팔을 싸는 부분.
- 짧은 소매.
- 소매 달린 옷.
- 손등까지 덮은 긴 소매.
- 소매로 눈물을 닦다.
- 소매가 좁다.
- 걷어 올린 소매 밑에서 그녀의 가는 팔목이 드러났다.
- 아이는 엄마의 소매를 잡아당기며 업어 달라고 보챘다.
- 낚싯대에 맺혔던 빗물이 대를 타고 흘러 소매 속으로 팔꿈치와 겨드랑이까지 내려갔다.≪안정효, 하얀 전쟁≫
- 코가 흘러서 입으로 들어갈 때쯤 되면 소매로 쓱 씻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 마술사 최 씨는 잠자코 소매를 걷어 보였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망슈(manche), 옷-소매, 의몌(衣袂), 팔-소매
- 지역어(방언)
- 서매(강원), 소우매(경남), 싸매(경남, 중국 흑룡강성), 사매기(경북), 사매이(경북), 세매이(경북), 소마(경북), 소망(경북), 소매이(경북, 충북), 소미(경북, 제주), 사매(경상, 함경), 소매기(경상), 싸매기(경상, 중국 흑룡강성), 쏘매(경상, 중국 흑룡강성), 나쪼시(전남), 사미(제주), 소맹이(충북), 스마(충북)
역사 정보
매(15세기~19세기)>소매(16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소매’의 옛말인 ‘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소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일반적으로 모음 ‘ㆍ’는 음가 소실로 인해 16세기 후반에는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18세기에는 제1음절의 ‘ㆍ’가 ‘ㅏ’로 변하였다. 이와 달리 ‘매’에서는 ‘ㆍ’가 ‘ㅗ’로 변화한 것이 특이하다. |
---|---|
이형태/이표기 | 매, 소매, , 소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4)
관용구·속담(6)
- 관용구소매를 걷다
- 어떤 일에 아주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다. <동의 관용구> ‘소매(를) 걷어붙이다’
- 친구의 사업에서 재미를 본 그는 다니던 직장을 그만두더니 소매를 걷고 사업에만 매달렸다.
- 관용구소매(를) 걷어붙이다
- 어떤 일에 아주 적극적인 태도를 취하다. <동의 관용구> ‘소매를 걷다’
- 관용구소매를 두르다
- 아무것도 가진 것이 없다.
- 관용구소매 속에서 놀다
- 손으로 하는 동작이나 행위가 남의 눈에 띄지 않게 몰래 이루어지다.
- 속담소매가 길면 춤을 잘 추고 돈이 많으면 장사를 잘한다
- 수단이나 밑천이 든든하면 성공하기 쉽다는 말.
- 속담소매 긴 김에 춤춘다
- 우연히 운 좋은 기회에, 하려던 일을 해치운다는 말. <동의 속담>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 ‘떡 본 김에 굿한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