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쇠ː비름발음 듣기/쉐ː비름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식물』
학명
Portulaca oleracea
「001」쇠비름과의 한해살이풀. 높이는 15~30cm이며, 잎은 마주나고 도란형의 타원 모양이다. 5~8월에 노란 꽃이 가지 끝에 피는데 꽃자루가 없고 아침에 피었다가 한낮에 오므라진다. 열매는 삭과(蒴果)로 검은 씨가 있다. 사료나 약재로 쓰며 번식력이 뛰어나다. 전 세계의 온대에서 열대에 걸쳐 분포한다.
파리 쫓는 일에 싫증이 난 나는 쇠비름 풀을 뽑아 풀각시를 만들어 물에 띄우고 냇물에 발을 담갔다.≪오정희, 유년의 뜰≫

역사 정보

쇠비름(15세기~현재)

설명 현대국어 ‘쇠비름’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쇠비름’으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쇠비름’은 접두사 ‘쇠’와 명사 ‘비름’이 결합한 것인데 ‘쇠’는 ‘쇠고래, 쇠갈매기’ 등에서와 같이 “작은”이라는 뜻을 나타낸다. 17세기에 보이는 ‘쇠비’은 제2음절에서 ‘ㆍ’의 음가가 소실되면서 ‘ㆍ’가 ‘ㅡ’로 표기되는 현상에 대한 과도 교정으로 나타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쇠비름, 쇠비
세기별 용례
15세기 : ((쇠비름))
밥 몯 먹거든 쇠비름 글힌 믈로 입시우를 시스라 ≪1489 구간 3:5ㄱ
馬齒筧 쇠비름1489 구간 3:13ㄱ
17세기 : ((쇠비름, 쇠비))
필승고 쇠비을 디허 즙 내고 ≪1608 언두 하:64ㄴ
馬齒莧 쇠비름1613 동의 2:27ㄱ

다중 매체 정보(1)

  • 쇠비름

    쇠비름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