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얼굴의 눈썹 위로부터 머리털이 난 아래까지의 부분.
이마가 넓다.
이마가 훤하다.
이마에 땀방울이 맺히다.
최상길은 손바닥으로 자기 이마를 한 번 딱 쳤다.≪박경리, 토지≫
이 박사의 이마에서는 진땀이 흐르고 있었다.≪김성일, 비워 둔 자리≫
훌렁 벗어진 이마 아래 친근한 웃음을 띠며 이렇게 말했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역사 정보

니맣(15세기~19세기)>니마(17세기~19세기)>이마(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마’의 옛말인 ‘니맣’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났다. 이 단어는 모음이나 ‘ㄱ, ㄷ’으로 시작하는 조사와 결합할 때에는 끝소리인 ‘ㅎ’이 나타나지만, 그 밖의 조사와 결합하거나 단독으로 쓰일 때에는 끝소리 ‘ㅎ’이 나타나지 않는 ‘ㅎ 종성 체언’으로서 ‘니맣/니마’의 이형태 교체를 보였다. 17세기에는 ‘니마과, 니마를’과 같이 기존에 ‘니맣’이 쓰이던 환경에서도 끝소리 ‘ㅎ’이 완전히 탈락한 ‘니마’가 쓰인 예가 등장하였다. 근대 국어 후기에 단어 첫머리에서 모음 ‘ㅣ’나 ‘ㅑ, ㅕ, ㅛ, ㅠ’ 앞의 ‘ㄴ’이 탈락하는 변화가 일어나 19세기에는 어두 음절의 ‘니’가 ‘이’로 바뀐 ‘이마’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니맣, 니마, 이마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니맣, 니마)
눈서비 놉고 길며 니마히 넙고 平正야 사 相이 고 ≪1447 석상 19:7ㄴ
누르고  갓플을 노겨 특특한 엿 거든 헌 것 우희 라 니마 우희 브티면 즉재 그츠리라 ≪1489 구간 2:94ㄱ-ㄴ
16세기 : (니맣, 니마)
아 난 석 에 머리털을 뷔여 며 두 녁 니마 드리워 부모 은혜 닛디 아니려  거시 ≪1588 소언 2:2ㄱ
니마  ≪1527 훈몽 상:13ㄱ
17세기 : (니맣, 니마)
온몸이 다 헤여디되 오직 니마히 변티 아니면 길고 ≪1608 언두 상:46ㄴ
 오 역기 니마과 뎡바기로 몬져 돋고 뵈니 진질로 사오납거니와 ≪1608 언두 상:46ㄴ
麟의 니마여 振振 公姓이로소니 于嗟홉다 麟이로다 ≪1613 시언 1:12ㄱ
主人이 哭고 나와 西向야 니마를 稽여 再拜여든 손이  哭고 東向야 答拜고 ≪1632 가언 7:7ㄱ
18세기 : (니맣, 니마)
夫人이 나히 늘거 눈이 어두워 그릇 后의 니마흘 샹호 알픔을 으샤 니디 아니 거시니 ≪1737 어내 2:54ㄱ
즉시 當頭砲勢 호 左手로 앏흘 막고 右手로 니마 리오며 ≪1790 무예 55ㄱ
19세기 : (니마, 이마)
화 얼골이오 놉흔 니마오 흰 옷과 흰 낫치오 ≪1865 주년 98ㄴ
셩유로써 령 쟈의 니마에 십 그으며 ≪1882 성교 24ㄴ≫
셔울의 드러오니 군의 무리 셔로 손을 들어 이마의 더으며 셩이 길을 막아 부루 ≪1852 태상 1:34ㄴ

다중 매체 정보(1)

  • 이마

    이마

관용구·속담(12)

관용구이마가 땅에 닿다
몸을 많이 숙이다.
  • 만득이는 징징 울며 이마가 땅에 닿게 고개를 처박으며 애원을 했다. ≪송기숙, 녹두 장군≫
관용구이마를 마주하다[맞대다]
함께 모여 의논하다.
  • 이번 사건을 해결하기 위해 노사가 이마를 맞대고 대책 마련에 부심했다.
관용구이마에 내 천(川) 자를 쓰다[그리다]
마음이 언짢거나 수심에 싸여 얼굴을 잔뜩 찌푸리다.
  • 뭐 속상하는 일이 있으면 그렇게 꽁하고 앉아 이마에 내 천 자 쓰지 말고 얘기를 해, 입은 뒀다 뭐 하니.
관용구이마에 와 닿다
어떤 시기가 매우 가까이 와 있다.
관용구이마에 피도 안 마르다
아직 어른이 되려면 멀었다. 또는 나이가 어리다. <동의 관용구> ‘머리에 피도 안 마르다’ ‘꼭뒤에 피도 안 마르다
  • 형들은 항상 자기들끼리만 이야기하고 혹시나 내가 끼어들려 하면 이마에 피도 안 마른 녀석이니 뭐니 하면서 날 항상 어린애 취급을 한다.
속담이마는 하나같아도 속은 하나같지 않다
사람들의 생각은 다양하고 서로 다름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이마를 뚫어도 진물도 아니[안] 난다
냉혹하기 짝이 없어 인정이라고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이마를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이마에 송곳을 박아도 진물 한 점 안 난다
속담이마를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냉혹하기 짝이 없어 인정이라고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이마를 뚫어도 진물도 아니[안] 난다’ ‘이마에 송곳을 박아도 진물 한 점 안 난다
속담이마에 땀을 내고 먹어라
공짜를 바라거나 수고도 없이 먹으려 하지 말 것을 이르는 말.
속담이마에 부은 물이 발뒤꿈치로 흐른다[내린다]
윗사람이 나쁜 짓을 하면 곧 그 영향이 아랫사람에게 미치게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꼭뒤에 부은 물이 발뒤꿈치로 내린다’ ‘정수리에 부은 물이 발뒤꿈치까지 흐른다
속담이마에 사자밥 붙이고 다닌다
저승사자에게 대접할 사잣밥을 이마에 붙이고 다닌다는 뜻으로, 언제 죽을지 모르는 위험한 처지에서 생활하고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이마에 송곳을 박아도 진물 한 점 안 난다
냉혹하기 짝이 없어 인정이라고는 없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이마를 뚫어도 진물도 아니[안] 난다’ ‘이마를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나겠다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