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이레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일곱 날.
이레 동안.
난 지 이레 된 소.
내가 그곳에 도착한 것은 집을 나선 지 꼭 이레 만이었다.

역사 정보

닐웨(15세기~17세기)>닐에(16세기~18세기)>니레(18세기)>이레(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이레’의 옛말인 ‘닐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이후 ‘닐웨’의 제2음절 모음 ‘ㅞ’에서 반모음 ‘ㅜ’[w]가 탈락하여 ‘닐에’로도 나타났다. 18세기에는 ‘닐에’가 연철 표기되어 ‘니레’로도 나타난 이후 어두의 ‘ㅣ’ 모음 앞에서 ‘ㄴ’이 탈락하여 ‘이레’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는 ‘닐헤’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는 18세기 이후 모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는 현상을 의식하여 ‘닐에’가 ‘닐헤’에서 온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결과이다.
이형태/이표기 닐웨, 닐에, 니레, 닐헤, 니일해
세기별 용례
15세기 : (닐웨)
이제 出家 아니샤 닐웨 디나면 轉輪 王位 自然히 오시리다 ≪1447 석상 3:24ㄱ
밤 낫 닐웨 八分齋戒 디녀 조 밥 먹고 ≪1447 석상 9:22ㄴ
닐웨어나 스믈 리어나 셜흔 다쐐어나 마 아래어나 디내오 ≪1447 석상 9:31ㄱ
이 功德이 조 리어나 닐웨예 니를어나 면 즉자히 가아 나리니 ≪1459 월석 8:47ㄴ
16세기 : (닐웨, 닐에)
남지니 죽거늘 屍禮 안고 닐웨 밥 아니 머거 주그니라 ≪1514 속삼 열 23ㄱ
남진이 죽거 신례을 안고 닐에을 밥 아니 먹고 죽으니라 ≪1581 속삼-중 열23ㄱ
17세기 : (닐웨, 닐에)
츌두로붓터 엿새 닐웨면 관농 처엄 날이니 ≪17세기 두경 49ㄴ
 번 머그면 닐웨를 밥을 아니 먹고 ≪1660 신구-윤 9ㄱ
노샹이어든  밤의  고 고 닐에 여곰 타 리디 말라 ≪16-- 마경 하:9ㄴ
18세기 : (닐에, 니레)
명일은 이 엇던 날이며 닐에 날은  엇딘 날이뇨 ≪1763 경세속 46ㄱ≫
공ㅣ 구로 말믜아므샤 졍승 일 자바 쟈니 닐에만의 졍 어즈리  후 쇼졍묘 버히시다 ≪1772 사략-영 1:89ㄱ≫
니레만의 비로소 어믜 신톄 엇고 통곡여 긔졀니 ≪1797 오륜 효 42ㄱ
19세기 : (닐헤, 니일해)
닐헤 七日 닐흔 七十 ≪1880 한불 286
니일해 七日 ≪1895 국한 239

관용구·속담(2)

속담이레 안에 경풍(驚風)에 죽으나 여든에 상한병(傷寒病)에 죽으나 죽기는 일반이라
어떻게 죽든지 죽는다는 사실과 죽은 결과는 같다는 말.
속담이레 안에 백구(白鷗) 친다
태어나서 이레도 되기 전에 백구 타령을 친다는 뜻으로, 놀랍게 조숙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