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이레

- 품사
- 「명사」
- 「001」일곱 날.
- 이레 동안.
- 난 지 이레 된 소.
- 내가 그곳에 도착한 것은 집을 나선 지 꼭 이레 만이었다.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이드레(강원, 충북), 일헤(강원, 경기, 충청), 이리(경상, 전라,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이뤠(제주), 일레(제주), 일뤠(제주), 닐궤(평북), 니레(평안), 닐괘(평안, 중국 요령성), 뉘레(함북)
- 옛말
- 닐웨
역사 정보
닐웨(15세기~17세기)>닐에(16세기~18세기)>니레(18세기)>이레(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이레’의 옛말인 ‘닐웨’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후반 이후 ‘닐웨’의 제2음절 모음 ‘ㅞ’에서 반모음 ‘ㅜ’[w]가 탈락하여 ‘닐에’로도 나타났다. 18세기에는 ‘닐에’가 연철 표기되어 ‘니레’로도 나타난 이후 어두의 ‘ㅣ’ 모음 앞에서 ‘ㄴ’이 탈락하여 ‘이레’가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에는 ‘닐헤’로 나타나기도 하였는데, 이는 18세기 이후 모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는 현상을 의식하여 ‘닐에’가 ‘닐헤’에서 온 것으로 잘못 이해하여 과도 교정한 결과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닐웨, 닐에, 니레, 닐헤, 니일해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이레 안에 경풍(驚風)에 죽으나 여든에 상한병(傷寒病)에 죽으나 죽기는 일반이라
- 어떻게 죽든지 죽는다는 사실과 죽은 결과는 같다는 말.
- 속담이레 안에 백구(白鷗) 친다
- 태어나서 이레도 되기 전에 백구 타령을 친다는 뜻으로, 놀랍게 조숙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