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새우다발음 듣기]
활용
새우어[새우어발음 듣기](새워[새워]), 새우니[새우니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주로 ‘밤’을 목적어로 하여)) 한숨도 자지 아니하고 밤을 지내다.
밤을 새워 공부하다.
책을 읽느라고 밤을 새우다.
몇 밤을 뜬눈으로 새웠다.
모두 어떤 결의가 담긴 긴장된 모습들이었지만 밤을 새워 산길을 걸은 피로한 기색은 역연했다.≪조정래, 태백산맥≫
그 이야기를 들은 날 밤을 뜬눈으로 새우다시피 했다.≪최인훈, 광장≫
동학군은 하룻밤을 새우고 이튿날 새벽부터 또 공격을 감행했다.≪유현종, 들불≫

관련 어휘

비슷한말
밝-히다, 패다
지역어(방언)
새아다(경남)
옛말
새아다

역사 정보

새오다(18세기)>새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새우다’의 옛말인 ‘새오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9세기부터 ‘새우다’가 쓰이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이어진다. ‘오다’와 ‘우다’는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 변동이 생기면서 이를 반영한 표기이다.
이형태/이표기 새오다, 오다, 새우다, 우다
세기별 용례
18세기 : (새오다, 오다)
졔신이 합문에 업듸여 밤을 새오기예1778 속명의 2:7ㄱ
겨을 밤이 와 흐되 밤 오기의 닉어 쵸 키고 블너 이니 ≪1794 유호남육읍윤음 4ㄴ
19세기 : (우다, 새우다)
우다 새우다 經夜 ≪1880 한불 385
 山刹에서 衆人이 徹夜코쟈 야 젹은  房에 모와 안 戶와 窓을 始終 닷쳐 一夜 우니1895 국민 43ㄱ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