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따뜨타다

- 활용
- 따뜻하여[따뜨타여](따뜻해[따뜨태]), 따뜻하니[따뜨타니]
- 품사
- 「형용사」
- 「001」덥지 않을 정도로 온도가 알맞게 높다.
- 따뜻한 햇살.
- 따뜻한 봄바람.
- 따뜻한 기후.
- 방 안이 따뜻하다.
- 아까보다 추위는 한결 누그러진 기분이다. 빈속에 따뜻한 숭늉과 밥이 들어간 때문인지 모른다.≪박경리, 토지≫
- 영칠이는 날씨가 따뜻해서 기분이 좋은지 콧노래를 흥얼거리며 곧장 산길을 올라가고 있었다.≪하근찬, 야호≫
- 따뜻한 아랫목에 눕다.
- 따뜻하게 몸을 녹이다.
- 따뜻하게 데운 정종 몇 잔을 마시다.
- 영자는 곧 스테인리스 식기에 푼 따뜻한 밥 한 그릇과 김치를 쟁반에 받쳐들고 들어왔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온-하다(溫하다)
- 반대말
- 냉-하다(冷하다)
- 지역어(방언)
- 따시다(강원, 경상, 전남), 뜨시다(강원, 경상), 따뜨-하다(경남), 떠떠-하다(경상), 따붓-스럽다(전남), 따붓-시롭다(전남), 땃땃-허다(전남), 닷닷-하다(제주), 땃땃-하다(제주), 따땃-하다(평안, 함경), 따따사다(함경), 따따시다(함경, 중국 길림성), 따뜨사다(함남)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8세기)>다(19세기)>따뜻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따뜻하다’의 옛말인 ‘다’는 18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와 같은 의미로 15세기에는 ‘다, 다’가 일반적으로 쓰였다. ‘다’는 이들 단어의 공통 어근 ‘’이 중첩된 ‘*’에 접미사 ‘--’가 결합된 ‘*다’에서 변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15세기에 ‘*다’와 모음만 다른 ‘듯듯다’가 나타나기 때문이다. 어근 ‘’을 가진 단어들은 근대 국어 이후 초성 ‘ㄷ’이 된소리로 변하므로, 이에 따라 18세기에 ‘다’로 나타난 것으로 추정된다. 16세기 후반에 제2음절 이하의 ‘ㆍ’가 ‘ㅡ’로 변화되고 18세기에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됨에 따라 ‘다’의 모음도 변화되며 제1음절 종성 ‘ㅅ’이 탈락되어 19세기에는 ‘다’로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ㅼ’을 ‘ㄸ’으로 표기하고, ‘ㆍ’를 표기에 쓰지 않게 됨에 따라 ‘따뜻하다’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19세기의 ‘다’의 ‘다’의 제1음절 모음 ‘ㆍ’와 제2음절 모음 ‘ㆍ’가 모두 ‘ㅏ’로 변화한 것이며, ‘닷다’는 ‘다’의 제2음절 초성 ‘ㅼ’을 예사소리로 표기한 것이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다, 다, 닷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