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뿌리다발음 듣기]
활용
뿌리어[뿌리어발음 듣기/뿌리여발음 듣기](뿌려[뿌려]), 뿌리니[뿌리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눈이나 비 따위가 날려서 떨어지다. 또는 그리 되게 하다.
빗방울이 뿌리기 시작했다.
하늘엔 구름장들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었고 비도 간간이 뿌렸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내일은 장마 전선이 다가와 전국적으로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된다.
변함없이 잔뜩 내려앉은 하늘, 추적추적 가랑비를 뿌려 대는 날씨가 신경을 긁어 놓고, 부글부글 짜증이 끓어오르게 했다.≪유재용, 성역≫

역사 정보

리다(15세기~18세기)>리다(18세기~19세기)>뿌리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뿌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두의 ‘ㅽ’은 ‘ㅂ’의 된소리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이후 양순음 ‘ㅁ, ㅂ, ㅍ, ㅃ’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리다>리다’의 변화가 일어났다. 19세기에는 ‘ㅂ’의 된소리를 ‘ㅃ’으로 표기한 ‘뿌리다’가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리다, 리다, 뿌리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리다)
世尊ㅅ 그르메예 甘露 리어늘 毒龍이 사라나니 ≪1447 월곡 69ㄴ
어마니미 드르시고 안답샤 낫라 아샤 것죽거시  믈 리여 시니라 ≪1447 석상 11:20ㄴ
그  阿難이 이 말 듣고 것주거 해 텨 수미 업거늘 阿那律이  므를  리고 慰努야 닐오 ≪1447 석상 23:21ㄱ
16세기 : (리다)
녯 말매 닐오 가히 프레 믈 리던 은혜 잇고  쥬리울 드리워 갑던 이리 잇니라 ≪1510년대 번박 43ㄴ
각별히 詩 지 아의 리고 며 답며 얼운 셤굘 졀 춀 일 대개로 닐어 ≪1518 번소 6:7ㄴ
릴 옥 ≪1527 훈몽 하:6ㄱ
灑 洒 믈 릴 쇄 ≪1576 신합 하:8ㄱ
17세기 : (리다)
시 믈로 祠堂 四壁의 리고 主人이 신主 뫼셔 녯 고듸 노코 려 位예 도로 오라 後 니라 ≪1632 가언 1:33ㄴ
밋 네 의 투틔예셔 倍케 고 술로 려 와 實케 라 ≪1632 가언 8:13ㄴ
18세기 : (리다, 리다)
온 믈 리며 온 미 지극히 셰쇄고 지극히 젹으 ≪1761 경문 43ㄴ
온 말에 니르러 더옥 가히 경 등의 피 리며 눈믈을 먹음 을 보리로다 ≪1778 속명의 차자: 7ㄱ
庭堂을 물 려 레질 며 巾布 洗濯며 ≪1737 여사 2:18ㄱ
낟 지나며붇터 비 리고 람이 사오납더니 ≪1748 첩신-개 1:17ㄱ
릴 쇄 灑 ≪1781 왜해 상:10ㄴ
19세기 : (리다, 뿌리다)
그 기름이 뭇 곳마다 비린 나고 피 린 듯거 ≪1852 태상 3:03ㄱ
이 아다온 씨 밧희 뿌리심이어 다만 샤마와 셰쇽과 욕의 잡풀이 그 가온대 셧겨 잇니 ≪1892 성직 56ㄴ
뿌리다 灑 ≪1895 국한 155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