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뿌리다

- 활용
- 뿌리어[뿌리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눈이나 비 따위가 날려서 떨어지다. 또는 그리 되게 하다.
- 빗방울이 뿌리기 시작했다.
- 하늘엔 구름장들이 어지러이 흩어져 있었고 비도 간간이 뿌렸다.≪이동하, 장난감 도시≫
- 내일은 장마 전선이 다가와 전국적으로 비를 뿌릴 것으로 예상된다.
- 변함없이 잔뜩 내려앉은 하늘, 추적추적 가랑비를 뿌려 대는 날씨가 신경을 긁어 놓고, 부글부글 짜증이 끓어오르게 했다.≪유재용, 성역≫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치다(경기, 전라, 충남), 가무타다(경남), 허치다(경남, 전라, 충남), 흩다(경남), 베리다(경북), 가무치다(경상), 삐우다(전남), 삫다(전남), 찌클다(전남), 헌치다(전북, 충청), 가무끄다(제주), 삐다(제주, 충청)
역사 정보
리다(15세기~18세기)>리다(18세기~19세기)>뿌리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뿌리다’의 옛말인 ‘리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두의 ‘ㅽ’은 ‘ㅂ’의 된소리로 발음되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17세기 이후 양순음 ‘ㅁ, ㅂ, ㅍ, ㅃ’ 아래에서 모음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모음화가 일어나기 시작하였는데, 이에 따라 18세기에는 ‘리다>리다’의 변화가 일어났다. 19세기에는 ‘ㅂ’의 된소리를 ‘ㅃ’으로 표기한 ‘뿌리다’가 등장하여 오늘날까지 이르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리다, 리다, 뿌리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