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뼈마디

- 품사
- 「명사」
- 분야
-
『의학』
- 「001」뼈와 뼈가 서로 맞닿아 연결되어 있는 곳. 움직일 수 없는 관절과 움직일 수 있는 관절이 있다.
- 뼈마디가 굵다.
- 뼈마디가 시큰거리다.
- 뼈마디가 쑤시다.
- 뼈마디가 저리다.
- 병옥이가 삽날 끝으로 흙을 긁어 떠냈다. 부드러운 흙만 날에 잡혔다. 널 썩은 조각이나 뼈마디 같은 것은 걸리지 않았다.≪한승원, 해일≫
- 그가 봉선이의 통통한 허리를 으스러지도록 껴안고 힘을 쓸라치면 우두둑우두둑 뼈마디 부러지는 듯한 소리가 났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새경 받아서 어느 세월에 내가 내 집 기둥 쳐 보고 사냐. 뼈마디에 고름이 들어 봐라?≪한수산, 유민≫
- 서당 개 3년이면 풍월을 하더라고 호령 소리 하나로 행세하는 수령 놈 밑에서 뼈마디가 굳은 놈이라 말본새가 제법 가닥이 잡혀 있었다.≪송기숙, 녹두 장군≫
관련 어휘
역사 정보
(15세기~18세기)>(17세기)>뼈마디(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뼈마디’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뼈”의 뜻인 ‘’와 속격 조사 ‘ㅅ’이 결합한 ‘’과 “마디”의 뜻인 ‘’가 결합한 것이다. ‘’는 ‘’의 ‘ㅅ’이 탈락하고 ‘’는 ‘뼈’로 표기되었으며 ‘’는 근대 국어 시기에 ‘ㆍ’ 음가의 변동과 근대 국어 후기의 이중 모음의 단모음화 현상으로 ‘마디’가 되어 현재의 ‘뼈마디’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