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두둑

- 활용
- 두둑만[두둥만

- 품사
- 「명사」
- 「001」논이나 밭 가장자리에 경계를 이룰 수 있도록 주위보다 불룩하게 만든 것.
- 두둑에 콩을 심었다.
- 소 먹일 꼴로 두둑에 난 풀을 베어 왔다.
- 청도댁의 집 감나무 숲을 향해 차조밭 두둑을 지나면 고구마밭이 시작되고, 그건 바로 그 감나무 숲 밑까지 뻗어 있었다.≪한승원, 해일≫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두렁
- 지역어(방언)
- 두덕(강원, 경남), 두럭(강원), 떠덕(강원), 뚜덕(강원, 전남), 대부둘(경남), 두득(경남, 전남, 제주, 충남), 두름(경남), 떠덩(경남), 뚜둑(경남), 던둑(경북), 두더륵(경북), 두둠(경북), 두듬(경북), 두털(경북), 뜨럼(경북), 두룩(경상, 전남), 뜨룸(경상)
역사 정보
두듥(15세기~17세기)>두둙(18세기)>두둑(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두둑’의 옛말인 ‘두듥’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듥’은 18세기에 제2음절 모음 ‘ㅡ’가 제1음절 모음 ‘ㅜ’에 동화되어 ‘두둙’이 되었다. 이후 19세기에는 제2음절의 말자음 ‘’에서 ‘ㄹ’이 탈락하여 ‘두둑’이 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듥, 두둙, 두둑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