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사내]
- 품사
- 「명사」
- 분야
-
『문학』
- 「006」향찰(鄕札)로 기록한 신라 때의 노래. 민요적·불교적인 내용으로, 작가층은 승려·귀족·평민에 걸쳐 다양하다. 4구체, 8구체, 10구체의 세 가지 형식이 있다. 현재 ≪삼국유사≫에 14수, ≪균여전≫에 11수로 모두 25수가 전한다.
역사 정보
(15세기)>나희(17세기~18세기))>사나희(19세기)>사(19세기)>사내(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사내’의 옛말인 ‘’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16세기 이후의 용례를 보면 ‘나, 나희’로 나타나는 것으로 미루어 뜻을 알 수 없는 ‘’과 “아이”의 뜻인 ‘아’ 또는 ‘아희’와 결합한 것으로 볼 수 있다. ‘나/나희’는 근대 국어 시기에 ‘ㆍ’의 음가가 동요함에 따라 ‘’가 ‘사’로 변하였고, ‘ㆎ’ 또는 ‘ㅢ’가 ‘ㅣ’로 단모음화 되는 현상에 따라 ‘히’로 변하여 ‘*사나히’가 되었으며 그 이후 ‘ㅎ’이 탈락하면서 ‘사나이’가 된 것을 볼 수 있는데, 19세기 당시에 벌써 ‘사나희, 사나히, 샤나희’와 같이 ‘ㅎ’을 유지하고 있는 유형과 ‘사, 사내’ 등 ‘ㅎ’이 탈락하고 모음이 축약한 어형이 공존하고 있었다. 현재의 ‘사내’는 ‘사나이’에서 ‘이’가 축약된 것으로 볼 수 있는데 그 시기는 19세기로 소급된다. |
---|---|
이형태/이표기 | , 나희, 나, 사나히, 사나희, 샤나희, 사, 사내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