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빌리다발음 듣기]
활용
빌리어[빌리어발음 듣기/빌리여발음 듣기](빌려[빌려]), 빌리니[빌리니]
품사/문형
「동사」 【…에서/에게서 …을】
「001」((‘…에게서’ 대신에 ‘…에게’가 쓰이기도 한다)) 남의 물건이나 돈 따위를 나중에 도로 돌려주거나 대가를 갚기로 하고 얼마 동안 쓰다.
은행에서 돈을 빌리다.
친구한테서 책을 빌리다.
이웃에게 망치를 빌리다.
봄에 빌려 갔던 쌀을 가을에 갚다.
남의 땅을 빌려 경작하다.
보고서를 쓰기 위해 어제 도서관에서 책을 빌려 왔다.
친구에게 돈을 빌리려고 했지만 말이 차마 입 밖으로 나오지 않았다.
동료에게서 빌린 자료를 되돌려주었다.
예식장에서 빌린 웨딩드레스가 몸에 맞춘 듯 꼭 어울렸다.≪최인호, 지구인≫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빌이다(15세기~19세기)>빌리다(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빌리다’의 옛말인 ‘빌이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빌다’에 피동 접미사 ‘-이-’가 붙어 파생한 것이다. 17세기부터는 피동 접미사 ‘-이-’ 대신에 ‘-리-’가 결합한 ‘빌리다’도 쓰이기 되었으며 ‘빌이다’와 ‘빌리다’는 19세기까지 공존하다가 현재에는 ‘빌리다’가 쓰이게 되었다.
이형태/이표기 빌이다, 빌리다, 빌니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빌이다)
北堀애 가 블 빌이쇼셔 야시 ≪1447 석상 11:26ㄴ
16세기 : (빌이다)
 긔약읫 사이 긔믈을 빌이며1518 여씨-존 26ㄴ
17세기 : (빌이다, 빌리다)
맷  나죗 서늘호 빌이놋다1632 두시-중 3:12ㄱ
敢히 私로 빌리디 말며 敢히 私로  주디 마놀디니라 ≪1632 가언 2:3ㄴ
18세기 : (빌리다, 빌니다)
만일 두 油紙帽ㅣ 잇거든 아직 내게 나흘 빌리면 내 곳 도라가 가져오지 아니리라 ≪1765 박신 2:3ㄴ
혀 오십칠돈을 빌녀 위군을 주어  거 고쳐 어더 ≪1758 종덕 상:13ㄱ
19세기 : (빌이다)
겻방 빌이다 借夾戶 ≪1895 국한 23
빌니다 借 ≪1880 한불 328

관용구·속담(2)

속담빌려 온 고양이같이
여러 사람이 모여 떠드는 데서 사람들과 어울리지 아니한 채 혼자 덤덤히 있는 경우를 이르는 말.
속담빌려 온 말이 삼경이 되었다
말을 잠깐 타고 돌려주겠다고 했는데, 시간이 흘러 밤늦은 삼경(三更)이 되었다는 뜻으로, 잠깐 빌려 온 물건이 그럭저럭 오래되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