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비

- 품사
- 「명사」
- 「003」먼지나 쓰레기를 쓸어 내는 기구. 쓰임에 따라 마당비, 방비 따위가 있는데, 짚·띠·싸리와 짐승의 털 따위로 만든다.
- 비로 마당을 쓸다.
- 비가 닳다.
- 싹불은 앞장을 서서 비를 들고 나가서 부산하게 쓰레질을 하였다.≪현진건, 무영탑≫
- 청군이 지나는 길가는 비로 쓸어 낸 듯이 사람도 짐승도 자취를 감췄다.≪유주현, 대한 제국≫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뷔(15세기~19세기)>븨(17세기~18세기)>비(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비’의 옛말인 ‘뷔’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에는 원순모음 ‘ㅜ’가 비원순모음 ‘ㅡ’로 바뀐 ‘븨’ 형태가 등장하였다. 그리고 19세기에 자음 뒤에서 이중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현대 국어와 같은 ‘비’ 형태가 등장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뷔, 븨, 비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4)
관용구·속담(1)
- 속담비를 드니까 마당을 쓸라 한다
- 스스로 일을 하려고 하는데 그 일을 시킨다는 뜻으로, 일을 하려고 하는 사람에게 쓸데없는 간섭을 해서 기분을 망쳐 놓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