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오ː로지하다발음 듣기]
활용
오로지하여[오ː로지하여](오로지해[오ː로지해]), 오로지하니[오ː로지하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오직 한 방향으로 하다.
판소리만을 오로지하던 그는 판소리 명인이 되었다.
백성의 마음이 귀일하고 백성과 하늘이 함께 응하사, 만민이 공동하여 대신들과 함께 회의할 때 권력을 오로지하여 대통령을 세우니, 대통령은 귀신과 사람이 함께 기약한 일이로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관련 어휘

역사 정보

오로다(15세기~17세기)>오로다(15세기~19세기)>오롯다(18세기)>오롯이다(18세기)>오로디다(18세기~19세기)/오로지다(18세기~19세기)>오로지하다(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오로지하다’의 옛말 ‘오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사 ‘오로’와 동사 ‘다’의 합성어이다. 동사 ‘오-’에 접미사 혹은 어말 어미 ‘-오’가 결합하여 부사 ‘오로’가 형성되었다. ‘오로다’는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오로’에서 어중의 ‘’가 약화, 탈락하여 ‘오로’로 변화함으로써 ‘오로다’가 만들어졌고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 부사들에 접사로 추정되는 ‘ㅅ’이 덧붙는 예가 많은데 ‘오로’에도 ‘ㅅ’이 결합하여 ‘오롯’이 형성되었고 ‘오롯’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오롯이’도 형성될 수 있었다. 18세기에는 이 ‘오롯’과 ‘오롯이’에 ‘다’가 결합하여 새로운 동사 ‘오롯다, 오롯이다’가 형성되었다. 18세기에는 ‘오로디다’도 나타나는데 ‘오롯이다’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는 어형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사이의 변화 과정은 추정을 할 수밖에 없다. 한 가지 가능성은 근대에 ‘ㅅ’과 ‘ㄷ’은 음절 말에서 모두 ‘ㅅ’으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오롯이다’의 ‘롯’의 음절 말 ‘ㅅ’이 원래 ‘ㄷ’이었다고 오인한 언중이 ‘오로디다’를 만들어 냈을 가능성이다. ‘오로디다’는 근대 이후 ‘ㅣ’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인해 ‘오로지다’로 변화한다. ‘오로디다, 오로지다’는 19세기까지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ㆍ’가 완전히 소실되면서 ‘오로지다’는 ‘오로지하다’로 표기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이형태/이표기 오로다, 오로다, 오롯다, 오롯이다, 오로디다, 오로지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오로다, 오로다))
將軍  오로고 幕府엔 조 어디니 하도다 ≪1481 두시-초 23:55ㄴ
오직 그 므를 보샤  觀 오로시고 四大 노기디 몯실 ≪1461 능엄 5:74ㄱ
17세기 : ((오로다, 오로다))
將軍  오로고 幕府엔 조 어디니 하도다 ≪1632 두시-중 23:55ㄴ
台階여셔 翊戴호 오로놋다 熊羆 呂望 시러 오시니 ≪1632 두시-중 2:67ㄱ
18세기 : ((오로다, 오롯다, 오롯이다, 오로디다, 오로지다))
만일 이 處世홈애 剛 애 오로고 柔로 濟 줄을 아디 못면 ≪1721 오륜전비 8:23ㄱ
스로 오롯 쟈 님군도 업게 녀기며 ≪1737 여사 3:22ㄱ
專心  오롯이다1790 몽보 16ㄱ
이 니론 계집의 얼굴이오 을 紡績기예 오로디야 희롱며 우음을 됴히 너기디 말고 ≪1737 여사 1:13ㄱ
나라졍 오로지야  죠졍 태위 제게 붓조츠며 ≪1777 명의 2:47ㄱ
19세기 : ((오로다, 오로디다, 오로지다))
그 졍 오로니 희과 화ㅣ 예의게 당거 ≪1832 십구 1:24ㄴ
츈신군을 주겨  입을 업시고 촛 졍 오로디다 유왕이 죽거 ≪1832 십구 2:88ㄱ
명신을 티부여 그 손을 금고고 졍 오로지며 그 아 채유와 권셰 병닙여 ≪1852 태상 1:44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