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오ː로지하다

- 활용
- 오로지하여[오ː로지하여](오로지해[오ː로지해]), 오로지하니[오ː로지하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오직 한 방향으로 하다.
- 판소리만을 오로지하던 그는 판소리 명인이 되었다.
- 백성의 마음이 귀일하고 백성과 하늘이 함께 응하사, 만민이 공동하여 대신들과 함께 회의할 때 권력을 오로지하여 대통령을 세우니, 대통령은 귀신과 사람이 함께 기약한 일이로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역사 정보
오로다(15세기~17세기)>오로다(15세기~19세기)>오롯다(18세기)>오롯이다(18세기)>오로디다(18세기~19세기)/오로지다(18세기~19세기)>오로지하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오로지하다’의 옛말 ‘오로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부사 ‘오로’와 동사 ‘다’의 합성어이다. 동사 ‘오-’에 접미사 혹은 어말 어미 ‘-오’가 결합하여 부사 ‘오로’가 형성되었다. ‘오로다’는 17세기까지 사용되었다. ‘오로’에서 어중의 ‘’가 약화, 탈락하여 ‘오로’로 변화함으로써 ‘오로다’가 만들어졌고 19세기까지 사용되었다. 부사들에 접사로 추정되는 ‘ㅅ’이 덧붙는 예가 많은데 ‘오로’에도 ‘ㅅ’이 결합하여 ‘오롯’이 형성되었고 ‘오롯’에 접미사 ‘-이’가 결합하여 ‘오롯이’도 형성될 수 있었다. 18세기에는 이 ‘오롯’과 ‘오롯이’에 ‘다’가 결합하여 새로운 동사 ‘오롯다, 오롯이다’가 형성되었다. 18세기에는 ‘오로디다’도 나타나는데 ‘오롯이다’와 상당한 관련을 맺고 있는 어형인 것은 분명하지만 그 사이의 변화 과정은 추정을 할 수밖에 없다. 한 가지 가능성은 근대에 ‘ㅅ’과 ‘ㄷ’은 음절 말에서 모두 ‘ㅅ’으로 표기되는 경향이 있었으므로 ‘오롯이다’의 ‘롯’의 음절 말 ‘ㅅ’이 원래 ‘ㄷ’이었다고 오인한 언중이 ‘오로디다’를 만들어 냈을 가능성이다. ‘오로디다’는 근대 이후 ‘ㅣ’ 앞에서 ‘ㄷ’이 ‘ㅈ’으로 변화하는 현상으로 인해 ‘오로지다’로 변화한다. ‘오로디다, 오로지다’는 19세기까지 나타난다. 20세기 이후 ‘ㆍ’가 완전히 소실되면서 ‘오로지다’는 ‘오로지하다’로 표기되어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오로다, 오로다, 오롯다, 오롯이다, 오로디다, 오로지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