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부ː디발음 듣기]
품사
「부사」
「001」‘바라건대’, ‘꼭’, ‘아무쪼록’의 뜻으로, 남에게 청하거나 부탁할 때 바라는 마음이 간절함을 나타내는 말.
부디 건강하시기 바랍니다.
이번 모임에 부디 참석하여 주시기 바랍니다.
어머님, 부디 몸조심하십시오.
이번 일에 대하여 부디 오해 없기를 바라오.
말 한마디만 빗나가도 어느 귀신이 잡아갈지 모르게 덜미를 쳐 가는 세상인데 부디 말조심해라.≪이무영, 농민≫
여러분은 부디 살아서 귀국을 하셔서 기다리는 이들에게 실망을 주지 마셔야 해요.≪안정효, 하얀 전쟁≫
부디 우리의 신뢰를 저버리지 말고 평화를 위해 애써 주십시오.≪이원규, 훈장과 굴레≫
그리고 갑례는 부디 한 번 마 서방을 다시 만나 볼 수 있었으면 싶었다.≪하근찬, 야호≫
“잘 가시오. 부디 잘 가시오.” 숙소 입구에서 각자의 방으로 헤어져야 했을 때도 그는 똑같이 반복했다.≪윤후명, 별보다 멀리≫

역사 정보

브(15세기~18세기)>부디(17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부디’의 옛말인 ‘브’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주로 18세기에 일어나는 ‘ㅂ’ 아래에서 ‘ㅡ’가 ‘ㅜ’로 변하는 원순 모음화와 19세기에 일반화되는 단모음화의 영향을 받은 것으로 이해할 수 있는데 정작 ‘부디’의 형태는 18세기부터 ‘브, 브듸, 부, 부듸’의 형태와 공존하였다.
이형태/이표기 브, 부듸, 부디, 부, 부듸, 브디
세기별 용례
17세기 : (브, 브듸, 부디, 부, 부듸)
브 (要) ≪1657 어록-초 1ㄱ
이러모로 비록 나지라도 브듸 죠 심지예 블 브텨 비취라 ≪1608 언두 상:55ㄱ
엇디 부디 가 너기시고 ≪1676 첩신-초 4:26ㄴ
병드러 몸을 니 부 병개 아라  시니라 ≪17세기 두경 11ㄱ
凄涼 부듸 양 오고 浩蕩 말  묻노라 ≪1632 두시-중 8:25ㄱ
18세기 : (브, 브듸, 부디)
太守 니시 바 브 밧과댜 너기시거니와 ≪1748 첩신-개 8:11ㄱ
녜 한 졔갈냥(諸葛亮) 이 지어미 매 브듸 황시(黃氏) 믄 엇디오 ≪1759 속자성 33ㄱ
順城門官店에 부디 오라 가쟈 져긔셔  져도 갓가오니라 ≪1790 몽노 1:14ㄴ
그러면 얻지 부 明日 시게 ≪1748 첩신-개 1:42ㄴ
19세기 : (브듸, 부)
두어 사을 지 브듸 그 목을 물어가니라 ≪1852 태상 3:56ㄴ
이 후의 부 고치고 뉘웃쳐 야 ≪1852 태상 대문해:11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