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얼ː다

- 활용
- 얼어[어러



- 품사
- 「동사」
- 「001」액체나 물기가 있는 물체가 찬 기운 때문에 고체 상태로 굳어지다.
- 언 땅.
- 물이 얼다.
- 강물이 얼어서 썰매를 탔다.
- 한겨울에 화분을 내놓으면 화초가 어니 꼭 들여놓으세요.
- 다행히 눈은 밤사이에 얼고 다져져 전날처럼 무릎까지 빠지지는 않았다.≪이문열, 그해 겨울≫
- 바깥은 눈발이 어지럽게 날리면서 날카로운 추위가 살을 에었다. 전을 지지려던 생선이, 어느새 얼어 굳고 부엌문 앞에 눈이 점점이 깔렸다.≪오유권, 대지의 학대≫
- 냇물에는 얼음이 얼었으나 밟고 지나가면 깨어질 정도의 두께 밖에 되지 않았다.≪김원일, 불의 제전≫
관련 어휘
- 반대말
- 녹다
- 지역어(방언)
- 을다(강원, 경기, 전남), 어라다(경남), 얼릐다(제주)
역사 정보
얼다(15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얼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얼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얼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언 다리에 빠진다
- 물이 언 다리 밑에 빠지더라도 크게 위험하지는 아니하다는 데서, 어쩌다 실수를 하였으나 과히 큰 손해를 보게 되지 아니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언 소반 받들듯
- 조심하여 삼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깨어진 요강 단지 받들듯’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