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따먹따발음 듣기]
활용
따먹어[따머거발음 듣기], 따먹으니[따머그니발음 듣기], 따먹는[따멍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바둑·장기·고누·돈치기 따위에서, 상대편의 말이나 돈 따위를 얻다.
상대편의 차(車)를 따먹고 장을 불렀다.
형은 구슬치기를 잘해서 마을 아이들의 구슬을 다 따먹었다.
친구는 내기 바둑으로 내가 가진 돈을 다 따먹어 버렸다.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따-묵다(경상)

역사 정보

먹다(15세기)>먹다(19세기)>따먹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따먹다'의 옛말인 '먹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먹다'는 "따다"의 의미인 '다'에 연결 어미 '-아'가 결합된 ''와 '먹다'가 결합한 것이다. 근대 국어 시기 이후 'ᄠ' 표기가 'ᄯ'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는 '먹다'가 나타난다. 이후 'ᄯ' 표기가 'ᄄ'로 변화함에 따라 19세기에 '따먹다'가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문헌에 나타난 '먹다, 먹다, 따먹다'는 모두 "따서 먹다"의 의미를 가지며, 현재와 같은 의미는 가지고 있지 않다. 따라서 '따먹다'가 현재와 같은 의미를 가지게 된 것은 20세기 이후의 일인 것으로 생각된다.
이형태/이표기 먹다, 먹다, 따먹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먹다)
남기 높고도 불휘 바히면 여름을 다 먹니1447 월곡 36ㄴ
19세기 : (먹다, 따먹다)
뎨자 곱파 곡셕 이삭 먹으니1887 성전 마태복음 12:1
딸기 따먹다 摘食伏盆子 ≪1895 국한 74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