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시

- 품사
- 「명사」
- 「001」부싯돌을 쳐서 불이 일어나게 하는 쇳조각.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부-쇠(강원, 경남, 전남, 제주, 충북), 부-쒜(경남, 중국 흑룡강성), 부새(경남), 부쇠기(경남), 부쎄(경남), 부쐬(경남), 불쎄(경남), 뷔쎄(경남), 부-쇄(경북, 함남, 중국 흑룡강성), 부-쌔(경상), 부-쐐(경상, 중국 흑룡강성), 부세(전남), 부수(제주, 평안), 부쉐(제주), 부쉬(제주), 불씨(충남), 부숙(평북, 중국 요령성)
- 옛말
- 부-쇠
역사 정보
부쇠(17세기~19세기)>부시(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시’의 옛말인 ‘부쇠’는 17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시기에 제2음절의 이중모음 ‘ㅚ’가 ‘ㅣ’로 변하여 ‘부시’로 나타나면서 현재에 이르렀다. 17세기의 ‘부쇠’는 명사 ‘불’과 ‘쇠’가 결합하면서 ‘ㅅ’ 앞에서 ‘ㄹ’이 탈락하여 ‘부쇠’로 실현된 것으로 추정된다. |
---|---|
이형태/이표기 | 부쇠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관용구·속담(1)
- 관용구부시(를) 치다
- 부싯돌에 부싯깃을 놓고 부시로 쳐서 불을 일으키다.
- 사내는 부시를 쳐 곰방대에 불을 붙이고 나서 수인사를 청했다. ≪문순태, 타오르는 강≫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