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부러워하다

- 활용
- 부러워하여[부러워하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남이 잘되는 것이나 좋은 것을 보고 자기도 그렇게 되고 싶어 하다.
- 남의 성공을 부러워하다.
- 옆집 아이가 반장이 되자 어머니는 은근히 부러워하셨다.
- 그는 세상 사람들이 모두 부러워하는 부와 귀를 모두 누렸다.
- 엄마는 비단을 하나하나 언니의 어깨에 걸쳐 보이며 감탄을 했고, 그럴 때마다 친척들은 탄성을 지르며 부러워했다.≪박완서, 도시의 흉년≫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불베-허다(전남), 불봐-허다(전남), 붋어-하다(전남, 함남), 불러-하다(제주), 불러이-하다(제주), 불뤄-하다(제주), 불워-하다(제주)
역사 정보
부러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부러워하다’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나서 현재까지 쓰인다. 이 단어는 아마도 ‘부러워하다’의 뜻인 ‘붇다’ 내지 ‘불다’에 형용사 파생 접미사 ‘-업-’이 결합한 ‘부럽-’에 ‘-어다’가 결합되어 이루어진 단어로 추정된다. 17세기에는 ‘부러다’의 용례가 확인되나 이 단어는 ‘붇다’ 내지 ‘불다’에 ‘-어다’가 직접 결합한 용례도 보인다. 따라서 현대 국어 ‘부러워하다’의 직접적인 선대형은 아니다. |
---|---|
이형태/이표기 | 부러다, 불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