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에ː다

- 활용
- 에어[에어](에[에ː]), 에니[에ː니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칼 따위로 도려내듯 베다.
- 가뜩이나 빈속은 칼로 에는 것처럼 쓰렸다.
- 계곡의 밤바람이 코끝을 에어 낼 것처럼 휘몰아치고 있었다.≪김용성, 리빠똥 장군≫
관련 어휘
- 옛말
- 어히다
역사 정보
어히다(15세기~17세기)>어이다(18세기)>에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에다’의 옛말인 ‘어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어히-’는 “나누다, 베다”의 뜻을 가진 ‘엏-’에 접미사 ‘-이-’가 결합된 것이다. ‘어히다’는 18세기에 모음 사이에서 ‘ㅎ’이 약화되어 ‘어이다’가 된다. 이 ‘어이다’가 축약되어 20세기에 ‘에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른다. |
---|---|
이형태/이표기 | 어히다, 어이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