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약따

- 활용
- 약아[야가


- 품사
- 「형용사」
- 「001」자신에게만 이롭게 꾀를 부리는 성질이 있다.
- 사소한 일에 약게 굴면 큰일을 그르치기 쉽다.
- 그는 골치 아픈 일은 늘 남에게 슬쩍 밀어 넘기는 약은 사람이다.
- 너무 약고 제 것 아까운 줄만 알아서 마을에서 조조라는 별명으로 불리는 송기영은 발끈 성질을 부렸다.≪한수산, 유민≫
- 해병대 상사 출신인 그 사나이는, 언행은 사내답게 씩씩하지만, 실제로 하는 행동은 약고 치사하고 째째하기가 한량없다.≪홍성원, 흔들리는 땅≫
역사 정보
약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약다’는 19세기 문헌에서부터 ‘약다’로 나타나 현재까지 이어진다. |
---|---|
이형태/이표기 | 약다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4)
- 속담약기는 묘구(墓寇) 같다
- 눈치 빠르고 영악한 사람을 이르는 말.
- 속담약기는 쥐 새끼냐 참새 굴레도 씌우겠다
- 약기가 쥐 새끼만큼이나 해서 약삭빠른 참새의 목에다 굴레를 씌울 만하다는 뜻으로, 꾀가 많은 사람을 비꼬는 말. <동의 속담> ‘꿩처럼 굴레를 벗고 쓴다’ ‘참새 굴레 쌀 만하다’ ‘참새 굴레 씌우겠다’ ‘참새 얼려 잡겠다’
- 속담약은 쥐가 밤눈 어둡다
- 약빨라 실수가 없을 듯한 사람도 부족한 점은 있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약빠른 고양이 밤눈이 어둡다’ ‘영리한 고양이가 밤눈 어둡다[못 본다]’
- 속담약은 참새 방아간 지나친다
- 약아서 좋은 먹이를 노린다는 것이 방앗간을 놓치고 그냥 지나쳐 버렸다는 뜻으로, 약게 굴다가 좋은 기회를 놓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