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어기다

- 활용
- 어기어[어기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1」규칙, 명령, 약속, 시간 따위를 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 약속을 어기다.
- 규칙을 어기다.
- 부모의 뜻을 어기다.
- 마감 날짜를 어기다.
- 여기 온 사람들은 지금까지 하나도 법을 어기고 산 사람이 없습니다.≪송기숙, 암태도≫
- 대원들은 두 사람이 규율을 어겼기 때문에 필시 즉결 처분을 당하게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 같이 피난을 떠나자고 약속해 놓고 그는 약속 날짜를 무려 이틀이나 어겼던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어긔다(15세기~19세기)>어기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어기다’의 옛말인 ‘어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어기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 ‘어긔다’는 “규칙, 명령, 약속 따위를 거스르다”의 의미 외에 “(···에)어긋나다”, “어그러지다”의 의미도 지니고 있었다. |
---|---|
이형태/이표기 | 어긔다, 어기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