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어기다발음 듣기]
활용
어기어[어기어발음 듣기/어기여발음 듣기](어겨[어겨]), 어기니[어기니]
품사/문형
「동사」 【…을】
「001」규칙, 명령, 약속, 시간 따위를 지키지 아니하고 거스르다.
약속을 어기다.
규칙을 어기다.
부모의 뜻을 어기다.
마감 날짜를 어기다.
여기 온 사람들은 지금까지 하나도 법을 어기고 산 사람이 없습니다.≪송기숙, 암태도≫
대원들은 두 사람이 규율을 어겼기 때문에 필시 즉결 처분을 당하게 되리라는 것을 알고 있었다.≪문순태, 피아골≫
같이 피난을 떠나자고 약속해 놓고 그는 약속 날짜를 무려 이틀이나 어겼던 것이었다.≪홍성원, 육이오≫

역사 정보

어긔다(15세기~19세기)>어기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어기다’의 옛말인 ‘어긔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현대 국어와 같은 ‘어기다’ 형태가 등장하였다.
중세국어와 근대국어 시기에 ‘어긔다’는 “규칙, 명령, 약속 따위를 거스르다”의 의미 외에 “(···에)어긋나다”, “어그러지다”의 의미도 지니고 있었다.
이형태/이표기 어긔다, 어기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어긔다)
正法을 擁護야 滅盡에 다록 부텻 치샤 어긔디 아니호리다 ≪1459 월석 25:32ㄱ
제 알오  알외야 어긔여 거스롬 업수믈 得호미 일후미 無嗔恨行이라 ≪1461 능엄 8:30ㄱ
綺語 기운 마리니 道理예 어긜 씨라 ≪1459 월석 23:15ㄱ
사히 衣食이 不足야 求논 이리 願에 어긔어나1459 월석 21:169ㄴ
데 順면 깃거 호 내오 데 어긔면 서글허 嗔心을 가지니 ≪1464 영가 하:74ㄱ
科判이 准을 일흐면 理義 절로 어긔리니1461 능엄 1:18ㄱ
16세기 : (어긔다)
우리  도의니의 마를 어긔디 마져 ≪1510년대 번박 상:25ㄴ
어긜 위 ≪1576 신합 하:19ㄴ
虛明 自性을 아디 몯 進退예 어긔여 外道과 邪魔의 일후 얻도다 ≪1569 선가 7ㄴ
다시곰 설으 외다 야 원망홈을 말믜아 드듸여 어긔여 톰이 되니 ≪1588 소언 6:90ㄱ
矛盾 창과 방패니 서 어긔단 말이라 ≪1588 소언 6:123ㄴ
어긜 괴 ≪1576 신합 하:49ㄴ
17세기 : (어긔다)
만일 父母의 치신 命을 어긔면 이 父母 不孝호미라 ≪17세기 여훈 상:41ㄴ
반시 맛당히 그 의 됴히 녀기시 바와 아쳐시 배 어듸 인고 궁구야 각야 진실로 大義예 어긔디 아니면 可히 좃디 아니 일이 업슬 니 ≪1632 가언 2:14ㄱ
가거나 잇거나 호매 내 과 어긔여 奔走 無定호니 ≪1632 두시-중 1:26ㄴ
差不多兒 어긔기 만티 아니다 ≪1690 역해 하:53ㄱ
18세기 : (어긔다)
軍令을 可히 어긔디 몯 디니 ≪1737 여사 4:37ㄴ≫6
각 읍 슈령이 혹 목을 어긔여 거을 잘못면 ≪1783 자휼전칙 9ㄴ≫
어긜 위 違 ≪1781 왜해 하:35ㄴ
여곰 죠곰도 제 에 어긔지 못게 야 ≪1777 명의 2:70ㄴ
음양이 어긔면 비 아니 오고 ≪1782 중외윤음 2ㄴ≫
19세기 : (어긔다, 어기다)
두리건대 텬쥬의 명을 반고 법을 어긜 뿐 아니라 ≪1892 성직 28ㄴ
힘쓰며 조심야 일즉 이러나며 밤 들거든 자서 집일을 어기지 말라 ≪1889 여사수지 2ㄴ≫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