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라듣따발음 듣기]
활용
알아들어[아라드러발음 듣기], 알아들으니[아라드르니발음 듣기], 알아듣는[아라든는발음 듣기]
품사/문형
「동사」 【…을】
「001」남의 말을 듣고 그 뜻을 알다.
말귀를 알아듣다.
알아듣게 타이르다.
내 말 알아듣겠니?
사람들이 허리를 잡고 웃었다. 정작 걱정도 팔자인 당사자만 말뜻을 못 알아듣고 멀뚱멀뚱하고 있었기 때문에 웃음판은 더욱 낭자해졌다.≪박완서, 미망≫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알어-듣다(강원)

역사 정보

아라듣다(15세기~18세기)>알아듣다(19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알아듣다’의 옛말 ‘아라듣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아라듣다’는 ‘알-’의 활용형 ‘아라’와 ‘듣-’이 결합한 합성어이다. ‘알아듣-’으로 나타나기 시작한 것은 19세기이다. 근대 국어의 분철 경향을 반영한 것이다. ‘알아듣-’은 현재까지 이어진다.
‘아라듣다’는 중세 국어에서부터 현대 국어와 같이 “뜻을 알다, 분간하다”의 뜻으로 쓰였다.
이형태/이표기 아라듣다, 아라들다, 알아듣다, 알아들다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라듣다))
온 들 몯 러 리니 그듸 가아 아라듣게 니르라 ≪1447 석상 6:6ㄴ
16세기 : ((아라듣다))
부이 그 들 려 닐오 아라듣디 몯 사은 질야 무라 ≪1518 여씨-존 41ㄱ
18세기 : ((아라듣다))
져기 아라듣올쏜가 客 쟝 잘 通시# ≪1748 첩신-개 1:29ㄱ
19세기 : ((알아들다))
셩당에 잇심을 보거든 닑은쟈ㅣ 알아드지어다1892 성직 7:118ㄱ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