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미투리

- 품사
- 「명사」
- 「001」삼이나 노 따위로 짚신처럼 삼은 신. 흔히 날을 여섯 개로 한다.
- 미투리 한 켤레.
- 어디를 얼마나 돌아다녔는지 미투리 앞부리가 수세미가 되어 있고, 상투 자른 머리칼 위에는 황토 먼지가 누렇게 쌓여 있었다.≪유현종, 들불≫
- 온종일 가야 군입 한번 떼지 않는 색시같이 잔존한 사람인 만큼 손재주가 좋아서 체도 꾸미고 망건도 뜨며 미투리니 아이들 꽃신 같은 것도 삼아서….≪이무영, 농민≫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메투리(강원, 경상, 함경, 황해), 미뚜리(강원), 미트리(강원, 경기, 경상, 전남, 충북), 참-신(강원, 평북), 미투라지(경기), 메터리(경남, 전라), 며커리(경남, 함북), 미털(경북), 미틀(경북), 미커리(경상, 전라, 충북, 함경), 미토리(경상, 전북), 메뚜리(전남), 미터리(전남), 민트리(전남), 유껭이(전남), 유꾕이(전남), 육-날(六날)(전남), 육날-배기(六날배기)(전남), 육날-신(六날신)(전남, 제주), 유깽이(전라), 삼-초신(제주), 숭매-신(제주), 승매-신(제주), 육날-미투리(六날미투리)(제주), 미드리(충북), 미타리(충북), 메커리(평북, 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무쿠리(평북), 무커리(평안), 메컬레(함경, 중국 길림성, 중국 흑룡강성), 생총-신(함경), 머쿠래기(함남), 머커리(함북), 머쿠리(함북), 메쿠리(함북), 막투리(황해)
- 옛말
- 메트리
역사 정보
메트리(15세기~17세기)>메투리(19세기)>미투리(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미투리’의 옛말인 ‘메트리’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9세기 문헌에는 제2음절의 모음 ‘ㅡ’가 ‘ㅗ’로 바뀐 ‘메토리’와 ‘ㅡ’가 ‘ㅜ’로 바뀐 ‘메투리’ 형태가 등장하였다. 이 중 ‘메투리’에서 제1음절의 이중모음 ‘ㅔ’가 ‘ㅣ’로 변화하여 현대 국어와 같은 ‘미투리’ 형태가 나타나게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메트리, 메토리, 메투리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