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싸라기

- 품사
- 「명사」
- 「001」부스러진 쌀알.
- 싸라기로 죽을 쑤다.
- 수탈이 심해 타작마당 쓸고 난 검부러기 속의 싸라기까지 골라 바쳐야 했다.
- 하루 품삯이 오 전, 십 전, 아니면 싸라기 됫박이나 얻어서 시래기죽이니 두만이가 뽐낼 만도 하지.≪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라기(15세기~17세기)>라기(17세기~18세기)>아기(19세기)>싸라기(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싸라기’의 옛말인 ‘라기’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7세기 문헌에 보이는 ‘라기’는 ‘라기’를 ‘’(쌀)과 접미사 ‘-아기’가 결합된 것으로 잘못 분석하여 나타난 것일 수도 있고 어두 경음화에 의해 나타난 표기일 수도 있다. 근대 국어 시기에 된소리 ‘ㅆ’을 표기하는 데 ‘ㅄ’, ‘ㅆ’이 자의적으로 선택되어 쓰였는데 ‘라기’의 ‘’는 18세기 이후 ‘’로 표기된다. 18세기의 ‘아기’, ‘악이’는 ‘라기’를 과잉 분철 하여 나타난 표기이다. ‘ㆍ’의 비음운화로 제1음절에서 일어난 ‘ㆍ>ㅏ’의 변화에 따라 현재의 ‘싸라기’가 되었다. |
---|---|
이형태/이표기 | 라기, 라기, 아기, 악이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1)
- 속담싸라기 쌀 한 말에 칠 푼 오 리라도 오 리 없어 못 먹더라
- 아무리 작은 돈이라도 우습게 여기지 말고 소중하게 써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