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바람-벽 편집하기 편집 금지 요청
발음
[바람뼉발음 듣기]
활용
바람벽만[바람뼝만발음 듣기]
품사
「명사」
분야
『건설』
「001」방이나 칸살의 옆을 둘러막은 둘레의 벽.
함지박은 몸을 제대로 가누지도 못하고 바람벽에 기댄 채 상체를 웅크리고 있다.≪이문희, 흑맥≫
눈 속의 흙을 파서 벽칠을 하니 바람벽이 되었고, 그 위에 또 나무를 가로 걸쳐 짚을 이으니 지붕이 되었다.≪이병주, 지리산≫

관련 어휘

지역어(방언)
바람-싹(강원), 바람-짝(강원), 바람-푹(강원), 바름-박(강원, 경기, 충남), 바름-벅(강원), 바름-빡(강원, 충남), 바름-팍(강원, 경기), 배름-삭(강원), 베룸-빡(강원, 경기), 벡-썩(강원), 담-베락(경기), 댐-부락(경기), 바람-박(경기, 전남, 충남), 바룸-벽(경기), 바룸-짝(경기), 배람-박(경기, 경상, 전라, 충남), 배럼-박(경기), 배름-박(경기, 전남), 벼람-박(경기, 충남), 바락-벡(경남), 방-벡(경남), 배럭-벡(경남), 배렁-방(경남), 배렁빠(경남), 배렁빡(경남), 배렁빵아(경남), 배륵-바닥(경남), 배름-벡(경남), (경남), 베럭-방(경남), 베롬-박(경남), 베롱-박(경남), 베루-빠(경남), 베룸-팍(경남), 베륵-바닥(경남), 베륵-빡(경남), 베륵-빵(경남), 베리-빡(경남), 베림-빡(경남), 바람-빅(경북), 배러-박(경북), 배루-박(경북), 배룩-박(경북), 배룻-박(경북), 밸-박(경북), 버리-박(경북), 벡번(경북), 벼릇-박(경북), 비렁-벡(경북), 비루-팍(경북), 비룩-박(경북), 비룸-박(경북, 전남, 충북), 비름-빡(경북), 비리-박(경북), 비림-박(경북), 빌-박(경북), 배럭-박(경상), 베럭-박(경상), 베름-빡(경상, 전남, 충북), 비람-박(경상), (경상), 바람-딱(전남), 바림-박(전남), 배랑-벡(전남), 배름-바닥(전남), 배림-박(전남), 베랑-빵(전남), 베름-바닥(전남), 벡-뜨람(전남), 벡-바람(전남), 벡-부람(전남), 벡-작(전남), 벡장(전남), 벼람-벽(전남), 벼림빡(전남), 벽-짝(전남), 바람빡(전라), 배랑박(전라), 배랑빵(전라), 베람-박(전라, 충남), 베랑-박(전라, 충남), 베랑-빡(전라, 충남), 벡드람(전라), 비람빡(전라), 비랑-박(전라), 비랑빡(전라), 배락-박(전북), 벡-바름(제주), 벡-보름(제주), 벽-바롬(제주), 바람-막(충남), 배랑(충남), 배름-팍(충남), 바름-벽(충북), 배름-작(충북), 배름-짝(충북), 벼랑-박(충청), 벼름-박(충청), (평북), 젬-벽(평북), 바람-뚝(평안), 바람-벡(함경), 전-벡(함남), 전-벽(전壁)(함남), 젠-벡(함남), 젠-벽(함남), 바름-베기(함북), 바람-쪽(황해), 바람-쭉(황해), 바람-팍(황해)

역사 정보

벽(17세기)>람벽(18세기~19세기)>바람벽(18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바람벽’은 ‘바람’과 ‘벽’의 합성어이다. ‘바람’은 15세기에 ‘’으로 표기되었으며 현대 국어의 ‘벽’의 뜻이었다. ‘벽’은 15세기에도 현대 국어와 같은 형태로 쓰였으나 의미는 현대 국어의 ‘벽돌’ 등 벽을 쌓은 부재의 의미로 쓰였다. ‘바람벽’은 17세기에 ‘벽’으로 표기되었는데, ‘벽’은 ‘벽’에 ‘ㄹ’이 덧생긴 표기인데, 2음절에서 ‘ㆍ’가 ‘ㅏ’로 바뀜에 따라 ‘람벽’이 생겼으며 이 형태는 18세기에서 19세기에 걸쳐 사용되었다. 한편 18세기부터는 현대 국어와 동일한 형태인 ‘바람벽’이 쓰이기 시작하여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이형태/이표기 벽, 람벽, 바람벽, 람ㅅ벽
세기별 용례
17세기 : (벽)
동인을 리와 잇면 어즈러이 아 벽의도 닷티며 담의도 딜리니 ≪17세기 마경 상:96ㄱ
18세기 : (람벽, 바람벽, 바람ㅅ벽)
내 낫은 을 히고 밤은 람벽을 둘너 니나 ≪1777 명의 권수상:59ㄱ
태후 빈소와 효공황뎨 잡히여 가 겨신  무러 통곡 고 민튱란 졀에 머므더니 람벽 이에 조아비라  글을 보고 ≪1797 오륜 충:61ㄱ
우리 잘 곳을 호쟈 燈盞 켜 가져왓다 바람벽에 걸라 ≪1765 청노 2:11ㄱ
다만 구의로셔 집마다 門 바람벽에 禁 글 부쳐시되 ≪1765 청노 3:17ㄱ
바람ㅅ벽1790 몽해 상:27ㄱ
19세기 : (람벽, 바람벽)
야흐로  거름을 옴기 그 람벽이 문허지니 ≪1852 태상 4:8ㄱ
시 구을너 져 편 바람벽을 코 셔 편 시 가희 노히니 ≪1852 태상 4:24ㄱ
바람벽 壁 ≪1880 한불 304

관용구·속담(2)

속담바람벽에도 귀가 있다
바람벽에도 듣는 귀가 있어서 몰래 한 말도 다 알게 된다는 뜻으로, 어떤 환경에서나 말을 함부로 하지 말고 조심하여야 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바람벽에 돌 붙나 보지
바람벽에 돌을 붙이려 하여도 붙지 아니한다는 뜻으로, 되지도 아니할 일이거나 오래 견디어 나가지 못할 일이면 아예 하지도 말라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