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물빵울

- 품사
- 「명사」
- 「001」작고 동글동글한 물의 덩이.
- 물방울이 맺히다.
- 물방울이 튀다.
- 성수의 얼굴에서는 빗물인지 눈물인지 알 수 없는 물방울이 턱 밑으로 뚝뚝 떨어지고 있었다.≪김용성, 도둑 일기≫
- 해가 떠올라 안개가 보이지 않는 물방울이 될 때까지 강변에 서서 숨을 크게 내쉬곤 하였다.≪문순태, 타오르는 강≫
- 갑자기 방문이 열리며 명훈이 물방울이 뚝뚝 떨어지는 머리를 내밀고 물었다.≪이문열, 변경≫
- 가을 햇살은 물방울이 맺힌 풀과 수목을 눈부시게 비춰 준다.≪박경리, 토지≫
- 수차가 멎은 물레방아에서 물방울 떨어지는 소리가 들려 왔다.≪한수산, 유민≫
- 집으로 돌아오자 철의 더럽게 젖은 발과 물방울 하나 튀기지 않은 영신의 발을 화가 난 눈으로 번갈아 보는 철의 어머니에게….≪정연희, 한 뼘의 땅≫
관련 어휘
역사 정보
믌올(15세기)>믌방올(17세기18세기)>물방울(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물방울’의 옛말인 ‘믌올’은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물방울’은 ‘물’과 ‘방울’의 합성어로, ‘물’의 옛말은 ‘믈’이고 ‘방울’의 옛말은 ‘올’이다. 양순음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는 18세기에 보편화되어 ‘올’은 18세기부터 ‘방울’로 쓰이기 시작하였다. 15세기의 ‘믌올’은 17세기~18세기에 ‘믌방올’로 나타나고 현대 국어 ‘물방울’은 18세기부터 나타나 현재까지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믌올, 믌방올, 믈방올, 믈ㅅ방올, 물방울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