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물쑥]
활용
물쑥만[물쑹만]
품사
「명사」
분야
『식물』
학명
Artemisia selengensis
「001」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높이는 120cm 정도이며, 잎은 어긋나고 세 갈래 또는 깃 모양으로 갈라진다. 가을에 줄기 끝 잎겨드랑이에 짧은 가지가 많이 나오고 두상화(頭狀花)가 많이 피어 이삭 모양을 이룬다. 이른 봄에 나는 연한 줄기와 잎은 나물로 먹는다. 물가나 들의 습지에서 자라는데 한국, 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관련 어휘

비슷한말
누호(蔞蒿)
옛말
믈-

역사 정보

믈(16세기~18세기)>물쑥(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물쑥’의 옛말인 ‘믈’은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이 단어는 ‘물’의 뜻인 ‘믈’과 ‘쑥’의 뜻인 ‘’이 합성하여 이루어진 단어이다. ‘믈’은 18세기까지 쓰였는데 이후에는 ‘ㅁ’ 아래의 ‘ㅡ’가 ‘ㅜ’로 바뀌는 원순 모음화 현상에 따라 변화된 ‘물’과 ‘ㅄ’이 ‘ㅆ’으로 바뀐 ‘쑥’의 형태가 늦어도 19세기에는 쓰였을 것으로 추측하지만 용례는 확인되지 않는다.
이형태/이표기 믈
세기별 용례
16세기 : (믈)
믈 루 ≪1527 훈몽 상:8ㄱ
17세기 : (믈)
蔞蒿 믈1613 동의 2:36ㄴ
水蒿草 믈1690 역해 하:40ㄴ
박하 믈 믈한 댓무우 노론 댓무우 토란 ≪1677 박언 중:33ㄴ
18세기 : (믈)
茼蒿 믈1778 방유 술부:29ㄱ

다중 매체 정보(1)

  • 물쑥

    물쑥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