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묻

- 품사
- 「관형사」
- 「008」수효가 매우 많은.
- 뭇 백성.
- 인기척 때문인지 풍성한 산속의 열매 탓인지 모습을 드러내지 않은 뭇 새들의 지저귐은 요란하고 수다스러웠다.≪박경리, 토지≫
관련 어휘
- 옛말
- 뭀
역사 정보
뭀(15세기)>뭇(16세기~19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뭇’의 옛말은 ‘뭀, 뭇, 믓’ 등인데 15세기에는 ‘무리’를 뜻하는 ‘물’에 사이 글자 ‘ㅅ’이 쓰인 ‘뭀’의 형태로 쓰이다가 ‘ㄹ’이 탈락한 형태인 ‘뭇’이 16세기 이후 계속 쓰였다. 17세기에는 받침 ‘ㅅ’과 ‘ㄷ’의 표기법에 영향을 받은 ‘묻’이 쓰이기도 하였으며 18세기에는 ‘믓’이 쓰이기도 하였으나 ‘뭇’이 현대 국어까지 쓰이고 있다. |
---|---|
이형태/이표기 | 뭀, 뭇, 묻, 믓 |
세기별 용례 |
|
관용구·속담(2)
- 속담뭇 닭 속의 봉황이요 새 중의 학 두루미다
- 평범한 여러 사람 가운데 뛰어난 한 사람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속담뭇 백성 여울 건너듯
- 여럿이 왁자지껄하게 떠드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