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발음
[아이발음 듣기]
품사
「명사」
「001」나이가 어린 사람.
아니, 먹는 것을 가지고 어른이 아이를 울리면 어떻게 해요?
놀이터에서는 고만고만한 아이들이 미끄럼을 탄다, 그네를 탄다 하며 떠들고 있었다.
팽이치기에 싫증이 난 아이는 땅바닥에 쭈그리고 앉아서 사금파리로 동그라미를 그리고 있었다.≪박경리, 토지≫
세 어린것들을 장정으로 만들어 세 아이 이름으로 군포가 나오기 시작하던 것이었다.≪이문구, 오자룡≫
양조장의 잡일에서부터 집안 심부름까지 두루 떠맡겨 시키고 있는 아이 이름이 강수인 모양이었다.≪한수산, 유민≫
그 식모 아이가 가장의 의도를 눈치챘다. 근처에서 서성거리다가 일가족이 독을 마시려고 하는 찰나 뛰어들었다.≪이병주, 행복어 사전≫
축구 골대 근처에서 두 아이가 공을 차고 있었다.≪이인성, 그 세월의 무덤≫
언덕 앞 연보랏빛 하늘에는 희고 깨끗한 구름이 빛나며 떠나가고 있었다. 아이가 구름에 주었던 눈을 소녀에게로 돌렸다.≪황순원, 별≫
그녀는 잘못을 저지른 아이가 그것을 자인하듯 풀 죽은 표정으로 말했다.≪조해일, 왕십리≫

역사 정보

아(15세기~19세기)>아희(16세기~19세기)>아히(19세기)>아이(20세기~현재)

설명 현대 국어 ‘아이’의 옛말인 ‘아’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16세기 이후로 제2음절 이하에서 모음 ‘ㆍ’가 ‘ㅡ’로 바뀌는 경향에 따라 16세기에는 ‘아희’ 형태가 등장하였다. 근대국어 후기에 자음 뒤에서 모음 ‘ㅢ’가 ‘ㅣ’로 발음되는 경향에 따라 19세기에는 ‘아히’ 형태가 등장하였고, 모음 사이에서 자음 ‘ㅎ’이 탈락하여 현대 국어의 ‘아이’가 된 것이다. 한편 ‘아’와 의미가 동일한 한자어 ‘兒孩’도 존재하는데, 중세국어 시기에 한자 ‘兒’의 음은 ‘’였으므로 ‘아’가 한자어 ‘兒孩’에서 유래한 것이라 볼 수는 없다.
이형태/이표기 아, 아희, 아히
세기별 용례
15세기 : (아)
童男 아 남지니오 童女는 아 겨지비라 ≪1447 석상 3:7ㄴ
긼  효 아히  뫼화 지블 라 두고 ≪1447 석상 24:7ㄴ
16세기 : (아, 아희)
아야 네 사발 뎝시 권 가져 지븨 가라 ≪1510년대 번노 상:46ㄱ
아  童 아  ≪1527 훈몽 상:16ㄴ
이 후 얼운 아희 례 기니라 ≪1518 번소 3:33ㄴ
17세기 : (아, 아희)
태극환  일홈은 토홍환이니 아 머기면 죵신토록 역을 아니 고 ≪1608 언두 상:5ㄱ
 설 머근 아희란 셜흔 환 세 설 머근 아란 일 환식 드슨 쥭믈에 머기라 ≪1608 언두 상:69ㄱ
압희 브리시 아희들의 衣裳이 사오나오면 그 볼 사오나오니 ≪1676 첩신-초 5:23ㄴ
18세기 : (아, 아희)
뉘 집 세 어린 아 이 거리에 와 입을 벙읏벙읏뇨 ≪1721 오륜전비 1:10ㄴ
乳兒正長 아 부러 가다 ≪1790 몽해-보 7ㄱ≫
 婦人이  아희란 안고  아희란 잇그러 가다가 ≪1737 어내 3:43ㄱ
19세기 : (아, 아희, 아히)
아 兒 ≪1880 한불 2
아희 兒 ≪1880 한불 2
미역한 아히 未疫兒 ≪1895 국한 127

관용구·속담(16)

관용구아이 보채듯
몹시 졸라 대는 모양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 그녀는 나에게 그 옷을 사 달라고 아이 보채듯 졸랐다.
속담아이가 때리는 매도 많이 맞으면 아프다
조그만 손해도 여러 번 당하면 큰 손해가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어린애 매도 많이 맞으면 아프다
속담아이가 셋이면 석 자 가시가 걸리지 않는다
가난하고 아이가 많은 집에서는 먹을 것이 없기 때문에 어머니는 가시조차 먹을 것이 없다는 말.
속담아이 가진 떡
상대편이 힘이 없어서 가지고 있는 것을 쉽게 빼앗을 수 있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아이 곱다니까 종자닭을 잡는다
아이 좋다니까 씨암탉을 잡는다’의 북한 속담.
속담아이는 제 자식이 잘나 보이고 곡식은 남의 곡식이 잘되어 보인다
자식은 자기 자식이 잘나 보이고 재물은 남의 것이 더 좋아 보여 탐이 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자식은 내 자식이 커 보이고 벼는 남의 벼가 커 보인다’ ‘곡식은 남의 것이 잘되어 보이고 자식은 제 자식이 잘나 보인다’ ‘자식은 제 자식이 좋고 곡식은 남의 곡식이 좋다
속담아이는 칠수록 운다
우는 아이는 때리는 것보다 잘 달래야 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아이와 북은 칠수록 소리 난다
속담아이들 고추장 퍼먹으며 울듯
어리석게 스스로 일을 저지르며 사서 고생을 하는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아이들은 많고 도래떡은 적다
써야 할 데는 많은데 예산은 부족한 경우를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아이들은 한 밥에 오르고 한 밥에 내린다
한창 자라나는 아이들은 한두 끼만 못 먹어도 살이 빠지고, 한두 끼만 잘 먹어도 살이 오른다는 말.
속담아이 손님이 더 어렵다
철없는 아이는 조금만 잘못하여도 섭섭해하므로 아이 손님 치르기가 더 어렵다는 말.
속담아이 싸움이 어른 싸움 된다
대수롭지 않은 일이 점차 큰일로 번짐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어린애 싸움이 어른 싸움 된다
속담아이와 북은 칠수록 소리 난다
우는 아이는 때리는 것보다 잘 달래야 함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아이는 칠수록 운다
속담아이와 장독은 얼지 않는다
아이와 장독은 어지간한 추위에는 잘 견딤을 이르는 말. <동의 속담> ‘장독과 어린애는 얼지 않는다’ ‘어린애와 장독은 얼지 않는다
속담아이 자라 어른 된다
보잘것없는 일이 차차 발전하여 크게 되거나 큰일이 됨을 비유적으로 이르는 말.
속담아이하고 여자는 길들일 탓
아이와 여자는 가르치고 길들이는 대로 착하게도 되고 악하게도 됨을 이르는 말.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
-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