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쓸다

- 활용
- 쓸어[쓰러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2」비로 쓰레기 따위를 밀어 내거나 한데 모아서 버리다.
- 방을 쓸다.
- 마당을 쓸다.
- 눈을 쓸다.
- 먼지를 쓸어 담다.
- 우선 방 구석구석을 깨끗이 쓸고, 걸레질을 하고, 아랫목에 이부자리를 깔았다.≪하근찬, 야호≫
- 순제는 내려와서 세수를 하고 나서 크림을 바르며 방으로 들어가려다 말고, 빗자루를 들고 마당을 쓸기 시작하였다.≪염상섭, 취우≫
- 잠시 후에 영희가 바닥을 쓸다 돌아보니 모니카는 껌을 잘근잘근 씹으며 잡지에만 정신이 팔려 있었다.≪이문열, 변경≫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씰다(강원, 경북, 전라, 황해), 실다(경상)
- 옛말
- 다
역사 정보
다(15세기~18세기)>쓸다(19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쓸다’의 옛말인 ‘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다’의 제1음절 ‘ㅄ’은 근대 국어 시기에 된소리 ‘ㅆ’로 소리 나는데 이를 반영하여 ‘ㅄ’이 ‘ㅆ’로 표기된다. 이러한 변화를 ‘다’도 겪어 ‘쓸다’가 나타난다. |
---|---|
이형태/이표기 | 다, 쓸다 |
세기별 용례 |
|
다중 매체 정보(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