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몰려다니다

- 활용
- 몰려다니어[몰려다니어


- 품사/문형
- 「동사」 【…으로】
- 「001」여럿이 떼를 지어 돌아다니다.
- 지도자를 잃은 군중들은 여기저기로 몰려다녔다.
- 운동장에서 반별로 우르르 몰려다니는 동안 서로 선생님 손을 잡으려고 아우성이었다.≪박완서,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
관련 어휘
- 지역어(방언)
- 몰리-대이다(경남), 몰리-댕기다(경남), 몰레-댕기다(경북), 떼끌어-댕기다(전라), 모다-뎅기다(제주), 모여-뎅기다(제주), 을러-댕기다(제주), 을러-댕이다(제주), 을허-댕기다(제주), 을허-댕이다(제주), 몰케-댕기다(평북), 밀케-댕기다(평북)
- 옛말
- 몰여-니다
역사 정보
몰여니다(15세기~17세기)>몰려다니다(20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몰려다니다’의 옛말인 ‘몰여니다’는 15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몰여니다’는 ‘몰-’과 접미사 ‘-이-’가 결합한 ‘몰이-’에 연결 어미 ‘-어’가 결합한 ‘몰여’와 “다니다”의 의미인 ‘니다’가 결합한 통사적 구성이 한 단어로 굳어진 것이다. 근대 국어 이후 ‘몰이다’가 ‘몰리다’로 나타나고, 18세기 이후 제1음절 모음 ‘ㆍ’가 ‘ㅏ’로 변화하며 ‘니다’의 제1음절 종성 ‘ㄴ’이 탈락하면서 20세기 이후 ‘몰려다니다’로 나타나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몰여니다 |
세기별 용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