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발음
- [뒤지다

- 활용
- 뒤지어[뒤지어



- 품사/문형
- 「동사」 【…을】
- 「005」무엇을 찾으려고 샅샅이 들추거나 헤치다.
- 가방을 뒤지다.
- 형사들이 집 안을 샅샅이 뒤지다.
- 동네방네를 이 잡듯이 뒤지다.
- 지갑을 뒤져 5백 원짜리 하나를 집어 드는 석이네 손이 후들후들 떨렸다.≪한수산, 부초≫
- 온 조선을 뒤져도 이런 색시를 찾아내기 어려웠으리라.≪현진건, 적도≫
- 남상이도 지지 않고 불쾌한 낯으로 조급하게 호주머니를 뒤져 술값을 치르면서 말했다.≪박완서, 오만과 몽상≫
- 구공탄을 쌓아 놓은 창고에 이르기까지 그들은 구석구석을 뒤져 보았다.≪최인호, 지구인≫
- 태유는 책상 서랍을 뒤져서 두 장의 사진을 찾아내었다.≪홍성암, 큰물로 가는 큰 고기≫
- 그는 전격적으로 마을을 포위한 뒤 부락에 진입하여 한 집 한 집 샅샅이 뒤졌다.≪이원규, 훈장과 굴레≫
관련 어휘
- 비슷한말
- 뒤다
- 지역어(방언)
- 뒤비다(강원, 경남), 뒤치다(강원), 도지다(경기), 두지다(경기, 충남), 두이비다(경남), 디자다(경남), 띠주다(경남), 두베다(경북), 디베다(경북), 디지끼다(경북), 디비다(경상, 함경), 디지다(경상), 데지다(전남), 뛰지다(전남), 뒤이다(제주), 대비다(함경), 대배다(함남), 디벡질-하다(함남), 충재질-하다(함남), 드베-보다(함북)
역사 정보
두디다(16세기)>뒤지다(18세기~현재)
설명 | 현대 국어 ‘뒤지다’의 옛말인 ‘두디다’는 16세기 문헌에서부터 나타난다. ‘두디-’는 ‘드위-’(그 지블 {드위라} 코져 나 ≪1481 두시-초 25:37ㄴ≫)에서 변한 ‘두-’와 ‘디-’가 결합한 것으로 추정된다. 18세기 이후 ‘드위-’가 ‘뒤-’(謄房子 집 {뒤다} ≪1690 역해 상:66ㄴ≫)로 나타나는 것과 동일하게 ‘두디-’의 ‘두-’도 ‘뒤-’로 변하게 되며, 근대 국어 시기에 ‘ㄷ, ㅌ’이 ‘ㅣ’나 ‘ㅣ’반모음 앞에서 ‘ㅈ, ㅊ’로 변화하는 구개음화의 영향으로 18세기에는 ‘뒤지-’로 나타나서 현재에 이르렀다. |
---|---|
이형태/이표기 | 두디다, 뒤지다 |
세기별 용례 |
|
어휘 지도(마우스로 어휘 지도를 이동할 수 있습니다.)이용 도움말 바로 가기새 창 보기

